수원 소재 제조기업 절반 이상이 고용노동부가 추진중인 휴일연장근로 제한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상공회의소는 수원지역 5인 이상 근로자를 보유한 제조업체 59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휴일특근 제한 입장 관련 설문조사’ 결과, 52.7%의 기업이 ‘휴일근로가 사라지면 생산성과 임금이 낮아져 제한에 반대한다’고 응답했다고 23일 밝혔다.
반면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과 장시간 근로를 줄여 찬성한다’는 의견은 38.2%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주중 정규 근무시간 이외에 휴일근무를 실시하는 기업은 51%로 조사됐다.
휴일근무의 월 평균 횟수는 2회(36.7%)가 가장 많았고 1회(26.7%), 3회(16.7%) 등의 순이다.
휴일근무를 실시하는 이유로는 ‘모기업의 생산에 납품을 맞추기 위해서’라는 의견이 47.4%로 가장 높았고 여러 업종 가운데 화학 및 서비스 업종은 업무 특성상 휴일근로가 불피한 것으로 나타났다.
휴일근로 제한으로 생산량이 줄어들 경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현행 설비 및 인력으로 생산성을 향상시켜 기존 생산량 유지’(33.9%)와 ‘추가 인력 채용으로 기존 생산량 유지’(33.9%) 등을 꼽았다.
그러나 휴일근로 제한에 따른 근로자 임금손실에 대한 대책은 61%가 ‘대책없음’이라고 답해 근로자의 불이익에 대한 사전조치나 대책없이 정책이 시행될 경우 상당한 부작용이 초래될 것으로 보인다고 수원상의 측은 설명했다.
수원상의 관계자는 “조사기업의 약 86%가 휴일특근 제한 방침이 시간을 두고 점진적으로 추진되길 바라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기업들의 이 같은 견해를 감안해 인위적인 조치로 강행하는 것보다는 노동시장의 현실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