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높이 60m의 보일러 타워가 무너져 3명이 숨지고 2명이 사망 추정되는 등 5명이 매몰됐다. 구조작업이 이어지는 가운데, 사고 원인을 두고 ‘부식된 노후 구조물’과 ‘해체계획 미이행’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7일 울산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사고는 지난 6일 오후 2시 2분쯤 울산 남구 용잠동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발생했다. 무너진 보일러 타워는 1981년 준공된 5호기로, 약 40년간 가동되다 2021년부터 사용이 중단된 철재 구조물이다.
동서발전이 발주한 해체공사는 HJ중공업이 시행을 맡고, 코리아카코가 하도급을 받아 지난달부터 ‘취약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취약화 작업은 본격적인 폭파 철거 전 구조물을 약하게 만들어 쉽게 붕괴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사고 당시 노동자들은 약 25m 높이에서 산소절단기로 철재를 자르는 중이었다. CCTV 영상에는 한쪽 기둥이 휘면서 순식간에 구조물이 쏟아져 내리는 장면이 담겼다.
업계 관계자는 “해체공사는 반드시 하중 계산과 공법, 절차가 포함된 계획서대로 진행해야 한다”며 “계획서가 부실했거나 이행되지 않았다면 붕괴 위험이 커진다”고 말했다.
노후 부식도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함은구 을지대 안전공학 교수는 “철은 부식이 빠른 재료로, 사용이 중단된 뒤엔 강도가 급격히 떨어진다”며 “도면상 강도와 실제 구조체 강도가 달랐을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그는 “도면만 보고 해체공법을 설계했다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공사는 4·5·6호기 등 세 개의 타워를 동시에 철거하는 방식이었다. 플랜트 업계에서는 “통상 한 기씩 순차적으로 철거하는데, 세 기 동시 철거는 매우 이례적”이라며 비용 절감을 위한 무리한 일정이었다고 비판한다.
조시형 민주노총 울산본부 노동안전국장은 “전문가들 사이에서 ‘비용절감 목적의 동시 폭파’라는 지적이 많다”며 “이번 사고는 명백한 인재(人災)”라고 말했다.
울산경찰청은 형사기동대장을 팀장으로 한 전담수사팀을 꾸리고,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 등을 염두에 두고 원하청 계약구조와 구체적인 작업 과정을 조사 중이다. 고용노동부도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를 통해 사고 원인을 규명할 방침이다.
한편 이번 사고로 9명이 매몰돼 이 중 2명은 사고 21분 만에 구조됐다. 현재까지 3명이 사망하고 2명은 사망 추정, 2명은 여전히 실종 상태다. 소방당국은 대형 크레인과 중장비를 동원해 잔해 제거와 실종자 수색을 이어가고 있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