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2월부터 아파트 관리비가 단지별은 물론 동·평형별로 비교가 가능하게 된다.
국토해양부는 아파트 관리비 공개 범위확대, 전자입찰 시스템 구축, 입주민 만족도 조사 등을 주요내용으로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을 전면 개편한다고 6일 밝혔다.
현재 운영 중인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은 해당 아파트 단지에 대한 관리비를 매월 인터넷에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단지별로만 관리비가 공개되고 관리비 항목도 28개 항목에 불과해 다른 아파트와 상세한 관리비 비교·검색에 제약이 있다.
개편되는 시스템에는 관리비가 단지별은 물론 동·평형별로도 공개되고 공개항목도 48개 항목으로 확대된다.
또 주택관리업자 및 각종 공사업체 선정시 입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리나 입찰담합 등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전자입찰시스템도 함께 도입돼 입찰 전과정이 공개된다.
이와 함께 아파트 관리업자에 대한 입주민의 만족도를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을 통해 정기적으로 설문조사하고 그 결과도 공개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아파트 입주민은 연 1회 아파트 관리수준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에 참여하고 서비스 만족도 점수를 지역별 평균 점수와 비교할 수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시스템 구축을 오는 9월 말까지 완료하고 2개월 간의 시범운용을 거친 뒤 12월부터 본격 운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지역 관리비 공개 의무관리 대상은 3천417개 단지, 209만6천323가구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2천151개 단지, 131만6천829가구), 부산(876단지, 52만7천339가구) 등의 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