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9 (토)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기업 60% “핵심인재 유출 경험”

기업 10곳 중 6곳은 핵심인재 유출 경험이 있고 이로 인해 손실을 입은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사람인은 기업 인사담당자 155명을 대상으로 ‘귀사는 핵심인재가 유출된 경험이 있습니까’라고 질문한 결과, 58.7%가 ‘있다’라고 답했다고 14일 밝혔다.

업종별로는 ‘건설’이 80%로 인재 유출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정보통신·IT’(73.1%), ‘자동차·운수’(71.4%), ‘금융·보험’(57.1%), ‘제조’(56.8%), ‘유통·무역’(55.6%)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 기업의 74.7%는 빠져나간 핵심인재가 경쟁사로 자리를 옮긴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인재 유출은 주로 ‘대리급’(41.8%)에서 발생하고 있었고 이어 ‘과장급’(36.3%), ‘평사원’(11%), ‘부장급’(9.9%), ‘임원진’(1.1%) 순이었다.

핵심인재가 유출된 이유로는 ‘연봉이 적은 편이어서’(52.7%,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기업의 비전이 없어 보여서’(22%), ‘승진 등 성과를 인정받지 못해서’(18.7%), ‘조직 문화와 맞지 않아서’(18.7%), ‘복리후생이 만족스럽지 않아서’(17.6%)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특히 96.7%는 핵심인재 유출로 손실을 입었다고 응답했다. 이로 인한 손실은 ‘업무 공백’이 69.3%(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이밖에 ‘인력충원 비용 발생’(45.5%), ‘직원들 사기저하 및 연쇄이탈 초래’(44.3%), ‘업무 노하우 유출’(37.5%), ‘업무 분위기 흐려짐’(36.4%) 등의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