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9 (토)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생산비 ‘껑충’ 소값 ‘폭삭’ 작년 한우농가 쪽박찼다

지난해 사료 값이 크게 오른 반면 소 값은 급락해 한우농가의 수익이 적자를 기록했다. 그러나 돈육 농가는 돼지고기 값이 상승하면서 수익이 다소 늘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1년 축산물생산비 조사결과’에 따르면 7개 축산물 생산비가 사료가격 상승 등으로 전년보다 모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대비 생산비 상승률은 송아지 13.7%, 한우 비육우(쇠고기) 9.9%, 육우 6.7%, 젖소(우유) 12.0%, 비육돈(돼지고기) 22.0%, 산란계(계란) 11.9%, 육계(닭고기) 2.7% 각각 올랐다.

생산비가 급증한 것은 사료비 증가가 가장 크게 영향을 끼친 것으로 통계청 측은 설명했다.

특히 번식우, 비육우, 육우는 소 값 하락 등으로 조수입(경비 빼지 않은 수입)이 줄어 전년보다 순수익이 크게 감소했다.

송아지(한우번식우)는 생후 4∼5개월 기준으로 산지가격이 2010년 217만4천원에서 지난해에는 144만9천원으로 33.3% 급락해 한우농가의 마리당 순수익이 107만1천원 줄었다.

비육우는 2010년 ㎏당 가격이 1만6천546원에서 1만3천550원으로 18.1% 줄었고 육우는 ㎏가격이 9천752원에서 7천317원으로 25.0% 감소했다.

이에 비육우와 육우 농가의 순수익은 마리당 116만6천원, 150만6천원 각각 줄었다.

그러나 비육돈(돼지 경락)은 2010년 ㎏당 가격이 4천7원에서 2011년 5천894원으로 47.1% 가격이 크게 상승했다.

이에 따라 마리당 순수익은 사료비 등 사육비 증가에도 조수입이 더 큰 폭으로 늘어나 14만3천원 증가했다. 또 젖소도 사료비 등 사육비 증가폭이 컸지만 원유가격 상승으로 마리당 150만8천원의 순수익을 거뒀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