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정보기술)를 응용한 ‘스마트 상품’이 국내는 물론 해외시장에서 신시장 개척을 견인하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국내기업은 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산업계의 IT 활용실태와 향후과제 조사’를 실시한 결과, ‘IT 융합을 통해 스마트 상품을 출시했거나 추진중’이라는 기업이 전체의 25.3%에 그쳤다.
규모별로 대기업은 44.6%가 스마트 상품을 출시하고 있는데 반해 중소기업은 16.8%로 조사돼 IT 융합에서도 양극화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업종별로는 자동차 관련 업종이 40.6%, 조선업종은 36.7%로 IT 융합의 활용도가 높은 반면, 유통(16.0%), 기계(14.0%), 건설(3.0%) 등의 업종은 활용도가 낮았다.
기업들의 IT 신기술 활용도 역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버스카드처럼 주파수를 통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RFID(무선인식) 기술을 업무에 활용중인 기업은 전체의 13.0%였고, 위성위치추적시스템인 GPS 사용기업은 5.0%였다.
‘개인 컴퓨터가 아닌 인터넷이란 구름위에서 정보처리를 하게 한다’는 신기술 클라우드 컴퓨팅의 사용비중은 19.7%인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지문인식 등 생체인식기술은 38.7%, 영상회의는 39.0%, 원격접속제어는 41.0%로 상대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대기업은 ‘업무에 RFID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는 응답이 27.2%였지만, 중소기업은 6.7%로 나타났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중’이라는 응답도 대기업은 43.5%였지만, 중소기업은 9.1%로 조사돼 신기술 활용에 있어서도 중소기업이 다소 부진했다.
박종갑 대한상의 조사2본부장은 “IT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IT 융합을 통해 산업계 전반을 스마트화 할 입체적인 정책지원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