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출입은행은 12일 도내 수출 중소·중견기업 10개사의 대표들과 긴급 간담회를 갖고 외화유동성 공급 확대 등의 무역금융 강화방안을 제시했다.
수원 라마다호텔에서 열린 이날 간담회는 김용환 수출입은행장이 참석, 무역금융 강화책에 대한 설명과 중소·중견기업의 현장 애로를 청취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날 김용환 은행장은 “최근 유럽 재정위기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수출 중소·중견기업을 지원키 위해 3가지 무역 금융 강화방안을 마련했다”며 “전체적으로 전년 대비 약 3조원의 유동성을 늘릴 방침”이라고 밝혔다.
수출입은행이 밝힌 지원방안을 보면 우선 시중은행에 외화유동성을 공급하는 ‘무역어음재할인제’의 재원을 기존 18억달러에서 24억달러로 확대한다.
이는 시중은행의 외화유동성 악화에도 수출금융 공급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무역어음재할인제는 수출환어음을 기초로 발행한 재할인용 무역어음을 수출입은행이 재할인해 간접적으로 외화를 공급하는 제도다.
또 시중은행이 중소기업에게 제공한 무역 금융대출에 대해 수출입은행이 자금(원화)을 공급하는 ‘무역금융파이낸스’ 규모도 지난해(6천억원) 보다 배 가까이 늘린 1조원을 투입한다.
이와 함께 수출입은행은 올해 포페이팅에 4조원, 수출팩토링에 4조8천억원을 지원한다. 이는 지난해보다 각각 1조원, 9천억원이 확대된 규모다.
포페이팅은 신용장 방식의 수출거래에서 발행된 수출환어음을 수출기업으로부터 소구하지 않는 조건으로 매입하는 것이다.
또 수출팩토링은 무(無)신용장 방식 수출거래에서 발생된 수출채권을 수출기업으로부터 소구하지 않는 조건으로 매입하는 제도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오원석 코리아에프티 회장은 “최근 대외환경이 좋지 못한 상황에서 수출입은행이 이처럼 무역금융을 대폭 확대함에 따라 기술력은 있지만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중소기업에 큰 힘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