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구제역 매몰지 상수도 설치 혈세 펑펑

6411억원투입···국회예산정책처"삼층 지하수 적절"지적

2010년 11월 이후 구제역 차단을 위해 가축을 매몰한 지역에 상수도시설을 설치하면서 과도한 예산을 집행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17일 국회예산정책처의 ‘가축매몰지 사후관리와 토양·지하수 환경관리의 적정성 평가’ 보고서는 2010∼2011년 구제역 바이러스 전염 차단을 위해 소·돼지를 파묻은 지역에 일률적으로 상수도시설을 설치, 재정 투입의 비효율성을 드러냈다고 지적했다.

주민 23만3천명에게 물을 공급하려고 총사업비 6천411억원(국고 4천428억원 포함)을 들여 상수도관을 설치했다. 급수인구 1인당 약 275만원이 소요된 셈이다.

도내의 동두천을 비롯해 강원 춘천·양양, 충남 천안·홍성·예산·당진 등 11곳은 1인당 사업비가 1천만원을 넘는다. 충남 아산시 주민 102명에게는 무려 62억원을 투입했다. 34명이 거주하는 경북 울진군의 한 마을에는 12억원을 지원했다.

보고서는 “소규모 주민이 거주하는 매몰지에는 100m 이하의 땅속에서 끌어올린 지하수를 활용하는 마을상수도 또는 소규모 급수시설을 제공하면 상수도관보다 훨씬 적은 예산으로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회예산정책처가 최근 전문가들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가축 매몰지 상수도시설에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상수도 공급이 시의적절하고 타당하다’는 견해는 ‘마을상수도 등 소규모 급수체계가 적절하다’는 답변과 똑같이 17.9%로 나타났다. ‘지하수 수질보전 대책이 더 시급하다’는 응답은 33.3%로 가장 많았다.

보고서는 적은 급수인구를 대상으로 장거리 상수도관망을 설치하면 t당 투자비가 늘어나 물값 인상 요인이 되므로 심층지하수 이용을 늘리는 게 주민에게 유리하다고 평가했다.

따라서 가축 매몰 지역에 무조건 상수도를 공급하는 미봉책에서 벗어나 지역 여건을 고려한 물 공급체계를 검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