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은 18대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지역순회 경선에서 현장 투·개표와 함께 모바일 투·개표도 함께 진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준비기획단은 최근 일정 기간 선거인단을 모집해 경선 막판 투표를 하는 기존의 방식을 대신해 경선기간 3차례에 걸쳐 선거인단 모집 및 투·개표하는 방안의 도입에 대해 논의에 들어갔다.
이는 제주, 울산 등에서 순회경선을 실시한 뒤 광주 등 거점지역에서 1차로 모바일 투·개표 결과를 공개하고, 다시 2차 모바일 선거인단 모집에 이은 투·개표를 하는 3라운드 방식이다.
경선준비기획단의 오영식 의원은 “모바일 투표 결과를 중간 중간 확인할 수 있어 경선 흥행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 모바일 투표를 선호하는 젊은층을 선거인단으로 유인해 경선의 역동성을 높이겠다는 구사을 내비쳤다.
특히 경선준비기획단은 투표 참여를 희망하는 모든 국민이 투표권을 행사하는 완전국민경선을 적극 검토, 이 같은 방식의 모바일 투·개표가 맞물릴 경우 참여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선준비기획단은 최근 통합진보당에서 지도부 경선의 온라인 투표시스템 장애로 경선 중단사태를 빚은 점과 관련해 모바일 투표시스템의 문제점과 보안책도 점검했다.
모바일 투표에서 이중투표 및 대리투표의 가능성을 따졌지만, 실현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서류·전화·인터넷 등을 통한 선거인단 모집방법의 문제점도 따지기로 했다.
경선준비기획단은 3일 5차 회의를 열고 모바일 투표와 관련된 논의를 계속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