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이재오 의원과 정몽준 전 대표가 9일 당 경선 불참을 공식 선언했다.
이들 ‘비박 3인방’ 중 2명이 경선에 불참키로 하면서 사실상 ‘경선 흥행’은 기대하기 어렵게 됐으며, ‘박근혜 추대 분위기’로 기정사실화되고 있다.
이 의원은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그동안 완전국민경선제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당내 경선에 불참하겠다고 말했다”며 “이 약속을 지키기 위해 저는 오늘 무겁고 비통한 심정으로 새누리당 대통령후보 경선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그간 완전국민경선제 수용을 촉구해왔으나 끝내 거부되자 이날 경선불참을 택했다. 향후 그가 유력한 주자로 꼽히는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대선 국면에서 적극 도울지, 비주류의 길을 가며 견제할지 주목된다.
그는 또 “당은 현재 모습이 과연 국민들로부터 신뢰를 받을 수 있고 차기 정권을 감당할 지지를 받을 수 있는지 겸허히 반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재오가 열망한 정의와 민주의 꿈은 흔들리지 않을 것이며 청렴과 공평의 꿈은 결코 꺾이지 않을 것”이라며 “이재오가 제시한 가난한 대통령, 행복한 국민은 반드시 실현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의원은 기자들과의 문답에서 향후 행보에 대해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이 이 시대의 과제라고 생각하며 다음 시대는 분권형 대통령제로 돼야 나라의 새로운 틀을 만들 수 있다는게 내 일관된 소신”이라며 “여기에 부합한 정치 공약을 내거는 것이 내 지지의 주요한 변수”라고 말했다.
정 전 대표도 이날 국회 정론관 기자회견에 앞서 미리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87년 민주화 이후 4반 세기가 지난 현 시점에서 정당독재가 미화되고 찬양되는 시대착오적인 일이 벌어지고 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경선에 참여하는 것은 당이 권위주의 시대로 회귀하는 것을 묵인하고 방조하는 일이며, 따라서 경선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정당내 선거 역시 마찬가지로, 대선후보를 선출하는 과정은 그 어떤 절차 보다 공정·투명하고 치열해야 한다”면서 “그렇게 선출된 후보만이 경선에서 패한 다른 후보를 포함한 전 당원의 지지를 받아 본선에서 승리를 기약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앞으로 새누리당이 거듭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하겠다”면서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정당민주주의를 파괴하는 세력에 단호히 맞서 흔들림없이 뚜벅뚜벅 당당하게 저의 길을 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