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대선 경선 방식의 막판 쟁점으로 부상한 결선투표제, 국민배심원제 도입 문제를 놓고 후보 간 치열한 기싸움이 벌어져 경선 일정 파행의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당내 1위 주자인 문재인 상임고문 견제를 위해 손학규·정세균 상임고문, 김두관 전 경남지사가 공동 대응전선을 갖추는 등 경선룰 갈등이 ‘문재인 대 비(非) 문재인’ 구도로 전개되는 양상이다.
손학규·정세균·김두관 후보측 경선룰 협상 대리인들은 15일 오전 국회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결선투표제와 국민배심원제 도입을 요구했다.
또 모바일투표와 현장투표, 배심원제 결과를 투표 결과 합산시 같은 비율로 반영하고, 예비경선(컷오프)을 당원 선거인단으로 구성해 1인2표제로 실시할 것을 주장했다.
결선투표제는 1차 경선에서 과반 득표자가 없을 경우 후보를 2인으로 압축, 추가 투표를 실시하는 것이며 배심원제는 후보의 자질을 평가할 별도의 배심원단을 구성해 이 배심원이 평가한 결과를 반영하는 방식이다.
김 후보측은 “1위 후보만 만족하는 안은 공정한 안이 아니다. 1위가 불만을 갖는 안을 만들어야 모두 만족할 수 있다”고 말했고, 손 후보측은 “경선 흥행에 성공하고 본선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안을 만들어야 한다는 충정의 발로”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당 지도부와 문 후보측은 다른 후보들이 룰 협상 막판에 경선룰의 근본적인 구조에 문제를 제기했다며 난색을 표했다.
결선투표를 실시할 경우 시간과 비용 등 현실적 문제가 발생하는 데다 결선투표 참여율이 저조할 경우 대표성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입장이다.
특히 배심원제 역시 당헌·당규상 대선 후보는 국민경선이나 국민참여경선으로 선출하도록 돼 있고, 배심원 선출 일정이 빠듯할 뿐만 아니라 배심원 선정을 둘러싼 공정성 시비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 모바일투표와 현장투표, 배심원제를 같은 비율로 합산하는 것은 당원과 국민 구분없이 ‘1인1표제’를 원칙으로 하는 완전국민경선제의 취지에 위배된다는 것이다.
막판 경선룰을 둘러싼 첨예한 갈등이 노출되면서 민주당의 경선 일정이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민주당은 이날까지 경선룰 조문화 작업을 어느 정도 마무리한 뒤 18일 최고위원회와 당무위원회를 잇따라 열어 경선룰을 확정하는 일정표를 마련했지만 현재 분위기로선 지연이 불가피해보인다.
일각에서는 경선룰 협상의 결과에 따라 일부 후보가 경선에 불참하지 않겠냐는 관측도 나온다.
비문재인 측 경선룰 협상 담당자들은 “당 지도부가 우리의 주장을 수용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받아들여지지 않았을 때 어떻게 할지는 예단해서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