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1 (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곽동우의‘독서의 새로운 발견’(14)

(14) 독서와 학습의 관계
‘독서량’과 ‘학교 성적’의 연관성

 

주위에 공부 잘하는 학생들을 보면 어릴 적부터 남다른 독서량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인지 우리는 독서를 잘하면 공부를 잘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독서와 학습은 어떤 관계일까? 대부분의 사람들이 밀접한 관계라고 답하거나 사전지식 때문에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이야기한다.

독서와 학습의 관계를 알기 위해서는 각각의 발달단계를 살펴봐야 한다. 먼저 독서발달 단계는 첫째, 책과 글자에 대한 친밀성 단계로 재미난 이야기와 다양한 자극을 통해서 책과 글자의 친밀감을 높인다. 어린아이에게 쉽고 재미난 책을 읽어 주거나 보여주는 것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둘째는 사고단계로써 책을 통해서 얻은 정보를 나의 지식과 경험에 연결하고 구성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인지하고 다양한 느낌과 생각을 얻을 수 있다. 셋째는 표현단계로써 사고한 결과를 말과 글로 표현하는 것이다. 우리는 막연한 생각을 말과 글로써 표현할 때 보다 구체화되고 확장된 생각과 만날 수 있다. 넷째는 창조단계로써 책을 통해서 얻은 정보를 다양한 지식, 경험들과 연결하고 구성하는 과정을 통해서 또 다른 결과물 즉 일기, 독후감, 서평, 수필, 발명품, 계획서, 강의 등을 창조하는 것이다. 아쉬운 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첫째, 둘째 단계를 벗어나지 못한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학습발달 단계를 살펴보면 첫째, 책과 글자에 대한 친밀성 단계로써 학습의 지속성을 결정한다. 아이들이 교과서를 보고 책과 글에 친밀성을 갖추기 어렵기 때문에 독서를 통해서 이 단계를 완성해야 한다. 둘째는 읽고 쓰기 단계이다. 학생들이 시험을 보면서 가장 어려워하는 것 중 하나가 지문과 질문의 핵심을 파악하는 일이다. 그리고 요즘 시험에 서술식 문제 또는 풀이과정 작성을 요구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출제되면서 쓰기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 단계도 꾸준한 독서와 독서록, 일기 쓰기 등을 통해서 발달시킬 수 있다. 셋째가 바로 여러분들이 잘 아는 학습단계이다. 넷째는 응용단계로써 학습단계에서 익힌 개념을 이용해서 다양한 문제를 풀이하는 과정이다. 문제가 출제되면 학습단계에서 익힌 다양한 개념 중 문제와 관련된 내용을 연결하고 구성해서 문제를 푸는 것이다. 여기서 기초가 되는 능력은 연결하고 구성하는 능력 즉 사고력이다. 따라서 응용단계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사고력 계발이 필수조건이며 이것은 독서발달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결론적으로 학습발달단계 중 첫째, 책과 글자에 대한 친밀성 단계, 둘째, 읽고 쓰기 단계, 넷째, 응용단계가 독서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만약 효과적인 학습을 원한다면 먼저 체계적인 독서를 권하고 싶다.

<독서전략연구소 곽동우 소장>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