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대선후보 경선주자로 나선 김문수 경기지사와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은 17일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이 전날 5·16쿠데타는 ‘불가피한 최선의 선택’이었다고 밝힌 데 대해 “5·16은 쿠데타”라며 비판했다.
김 지사는 이날 SBS 라디오 ‘서두원의 시사초점’에 출연해 “대통령을 뽑는 것은 어디까지나 국민의 선거”라며 “아무리 불가피해도 탱크를 갖고 한강을 넘어 정부를 접수하는 것을 우리는 쿠데타라고 한다. 헌법에 안 맞는 말”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이어 “5·16으로 등장한 박정희 당시 장군은 나중에 민주적인 여러 절차를 거치려는 노력도 했지만 유신도 했다”면서 “이후 산업혁명의 성공 때문에 5·16 자체를 잘 됐다고 말할 수는 없다”고 평가했다.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도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 “쿠데타는 아무리 수식어를 붙여도 쿠데타”라며 “역사의 어떤 평가가 성과가 좋다고 해서 바뀔 순 없다”며 비판했다.
그는 “가령 역사에서 세조가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고 여러가지 한 일들을 보면 잘했고, 성과가 있었더라도 역사에서 이건 왕위찬탈”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역사에서 이렇게 규정하는 것은 앞으로 이런 일이 반복되면 안된다는 교훈을 주기 위한 것 아니겠느냐”고 강조했다.
한편, 새누리당 이재오 의원도 박 전 비대위원장의 전날 5·16 발언과 관련 “헌정을 총칼로 유린하고 권력을 찬탈한 그 행위가 쿠데타”라고 말했다.
대표적인 비박계 인사인 이 의원은 이날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한·일 병합과 6·25 전쟁에 대해 그들 후손이 ‘그때는 불가피한 최선의 선택’이라고 말한다면 우리는 무엇이라고 해야 할까”라며 이같이 비판했다.
박 전 위원장이 유신체제에 대해 ‘역사 판단에 맡겨야 한다’고 밝힌 데 대해서도 “유신 독재는 판단을 유보할 문제가 아니라 장기 독재로 가는 가장 혹독한 인권탄압의 시대”라며 “생각이나 판단의 차이가 아니라 역사 인식의 문제”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