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식수원인 북한강 주변 지역에 수돗물에서 냄새가 난다는 민원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악취를 유발하는 남조류(藍藻類)가 대량 증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강유역환경청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남양주시 조안면 삼봉리 북한강 일대 남조류 세포수는 ㎖당 최고 3천974개, 클로로필-a 농도는 31㎎/㎥로 조사된데 이어 최근까지 비슷한 수치를 보이고 있다.
특히 악취를 유발하는 지오스민(Geosmin) 농도는 먹는물 수질감시항목 기준을 무려 100배나 넘는 2천ppt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비상이 걸렸다.
북한강 남조류는 지난달 중순 증식이 시작됐다. 계속되는 폭염에 상류지역 물까지 가물어 조류가 발생한 것으로 한강유역환경청은 보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지난달 27일 북한강 일대에 조류주의보를 발령했다.
남조류 가운데 5종은 간암을 유발하는 마이크로시스틴 등 유해물질을 분비해 정부가 주의보나 경보 기준을 정해 관리하고 있다.
남조류 세포수가 ㎖당 500개 이상이고 클로로필-a 농도가 15㎎/㎥ 이상이면 조류주의보가, 남조류가 ㎖당 5천개 이상이고 클로로필-a가 25㎎/㎥ 이상일 때는 조류경보가 각각 발령된다.
그러나 남조류에서 나온 유해물질은 정수처리 과정에서 모두 걸러지기 때문에 수돗물은 안심하고 먹어도 된다고 한강유역환경청 측은 설명했다.
한강유역환경청은 조류 수 등을 매일 모니터링 하지만 일주일에 한번씩 북한강(삼봉리)과 남한강(월계사) 그리고 합수지점인 팔당댐 등 3곳에서 채취한 시료 분석 결과를 공식 자료로 인정한다.
분석은 이틀이 소요돼 지난 1일 채취한 시료 분석 결과는 3일 나온다.
한강유역환경청 관계자는 “조류 증식 원인이 아직 정확하게 분석되지는 않았지만 폭염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며 “오염원이 있을 수 있는 만큼 북한강 주변 지도 점검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