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민주통합당이 대선후보 경선 패배 후 도정에 복귀한 김문수 지사를 향해 ‘도정 공백’과 ‘회전문 인사’ 등의 공세로 몰아부치는데 맞서 김 지사도 ‘법대로’를 앞세워 정면으로 맞서며 날선 공방을 벌였다.
김종석(민·부천) 의원은 5일 열린 제271회 임시회 도정과 교육행정에 관한 질문을 통해 경선 참여과정에서의 도정공백 및 측근 인사 재임용 등에 대해 맹공을 퍼부었다.
김 의원은 “지난 7월26일 임시회에서 결산승인건이 있었는데 그때 지사께서는 연가를 내고 지지활동을 하고 있었다”라며 “이는 직무유기이자 도정공백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방송에 출연하는 것이 다 도정공백이라고 하는 것은 과하다”라며 “어떤 공백이 일어났는지 구체적으로 지적하는 것이 옳다”고 대응했다.
경선캠프에 합류하기 위해 지난 7월 퇴직했던 게약직 공무원 4명이 이날 두말만에 최종합격자 명단에 이름을 올려 두달 만에 다시 채용된 것도 도마 위에 올랐다.
김 의원은 “지난 13회 지방계약직공무원 채용과 관련해 측근 공무원 재입성에 대해 문제점을 지적한 바 있다”라며 “공정하게 공무원을 채용하고 있다고 생각하느냐”고 따졌다.
김 지사는 이와 관련 “인사위원회에서 했겠지만 일단 응시했던 사람이 모두 안돼야만 공정하다고 가정하나. 지사 측근이라고 무능하고 부정한 사람이 아니다”라며 “유능하고 적합한 사람을 쓰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오해에 대해 해명은 할 수 있으나 사과할 생각은 없다”고 맞섰다.
이어진 관용차의 사적 사용과 특강에 사용한 경비 지출 등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 “필요한 것이 있으면 구체적으로 조치를 취해달라”고 일축했다.
이같은 공방에 이어 민주통합당 김영환(고양) 대변인은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 지사의 답변 태도는 부덕의 소치”라고 비판했다.
김 대변인은 “지사 공백에 대해 이렇다할 사과와 반성도 없이 ‘법대로 고발하면 된다’라는 식의 답변은 소통보다 ‘할테면 하라’는 표현과 다름없다”면서 “민주당은 김 지사가 원했던 바대로 법적 고발과 감사원 감사요청, 선관위 조사의뢰 등 원칙적으로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