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대주주·경영진, 미공개정보 악용 공시 전 주식매도 손실회피 빈번

상장기업의 대주주나 경영진이 경기침체 등으로 경영난이 심각해면서 회사의 악재성 미공개 정보를 이용, 주식을 매도해 손실을 피하는 등 불공정거래가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2010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2년 6개월 동안 회사의 미공개 정보를 이용하다가 적발된 불공정거래가 147건 발생했다. 이중 경제여건 악화 등으로 악재성 미공개 정보를 악용한 사례가 절반이 넘은 92건을 차지했다.

악재성 정보 가운데 감자 결정이 24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감사의견거절이나 경영실적악화(각 15건), 유동성 위기(9건), 자본잠식(9건), 횡령사건(6건) 순이었다.

이로 인한 피해액도 최소 1억3천100만원에서 최대 13억4천600만원에 달했다.

이러한 악재성 정보 사건이 발생한 기업(79곳) 중 6개월 이내 상장폐지된 곳은 28곳(35.4%)이었으며, 2년 이내에 상장폐지된 기업도 46곳(58.2%)나 됐다.

악재성 정보 이용자는 경영진(49명)과 대주주(34명)가 전체(162명)의 63.6%를 차지했고 일반 직원은 20명이었다.

또 상장사와 경영자문·회계감사 계약 관계에 있는 준내부자가 13명, 상장기업 내부자에게서 정보를 미리 전달받아 공시 전에 주식을 팔아치운 일반투자자가 46명이었다.

금감원은 악재성 정보를 이용한 162명 중 148명을 검찰에 고발하거나 통보하는 등 엄중 조치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미공개정보 악용 행위가 늘면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며 “일반 투자자가 상장사 내부자로부터 정부를 전달받아 투자하는 것도 범죄행위로 처벌받을 수 있으니 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