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IT강국이라고는 하지만 일부계층을 제외하고는 그 활용도가 그다지 크지 않은 것 같다. 인터넷 보급률은 이미 선진국 수준을 크게 웃돌고 있고 스마트폰 보급도 앞서나가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국내3사의 스마트폰 보급 대수가 3천 3만명인 것으로 파악되고, 올 연말에는 전 국민의 80%가 스마트폰을 이용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대중화라는 시대적 흐름속에 보다 다양한 앱을 개발해 국민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일부계층을 제외하고는 스마트폰은 전화통화와 문자전송 이외에 게임, 놀이기구 정도로 이해하는 국민이 많은 것 같다. 그러나 스마트폰이 자유롭게 이동하며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 단말기 수준의 기능을 갖추고도 그에 상응하는 활용도를 보여주는데는 한계를 느끼는 것이 사실이다. 스마트폰 교육을 제도화 하는 방안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금융위원회와 전자금융업계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 직불결제 서비스 도입을 추진중이어서 기대가 크다. 전화번호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만으로 통장잔고 내에서 원하는 물건을 살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다. 결제는 자동응답전화(ARS)와 바코드 두가지 방식으로 이뤄진다. ARS 기반 거래는 이용자가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하고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결제 시 등록한 번호로 전화가 온다. 이때 휴대전화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통장에서 해당 금액이 빠져 나간다. 바코드를 이용한 거래는 스마트폰에서 앱을 내려받아 자신의 통장번호를 입력하면 바코드가 생성되고 이 바코드를 바코드 입력기에 읽히면 결제가 이뤄지는 방식이다.
이 서비스가 도입되면 소비자와 가맹점 모두에 이익이 될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는 두꺼운 지갑을 갖고 다니지 않아도 스마트폰 만으로 결제가 가능하다. 가맹점으로서도 별도의 기기를 들여놓지 않아도 된다. 서비스 이용에 따른 수수료를 크게 낮출 수 있다는 결론이다. 지불능력 범위내에서 쓰는 직불결제가 활성화되면 가계의 카드빚 문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여러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결제수단이 자리 잡으려면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 먼저 휴대전화는 분실위험이 크다는 점이다. 당국은 분실위험을 고려해 결제 상한선을 30만원으로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예상되는 여러 문제에도 불구하고 새 서비스는 소비자와 가맹점의 편의와 카드업계의 수수료율 인하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이른 시일내에 전자직불제의 표준화가 이뤄지고 안전성이 확립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