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 김포시, 인천시 부평·계양구 등 4개 지자체들이 ‘굴포천’을 국가하천으로 지정해 줄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해당지역 국회의원 및 지자체장들은 19일 오전 국회 귀빈식당에서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이를 국토해양부와 기획재정부에 제출했다.
성명서에 따르면 굴포천은 서울시(강서구), 경기도(부천·김포시), 인천시(부평·계양구) 등 5개 자치단체를 관류하는 유역면적 131㎢, 연장 15.31㎞ 유역내 인구 약 200만 명에게 영향을 주는 지방하천이다.
이들은 “굴포천은 그동안 관리주체가 불명확해 일관성 있게 관리되지 못함에 따라 수질오염이 심각하고, 유역내 저지대에서 침수피해가 빈번히 발생하는 등 수도권 하천 중 가장 관리가 낙후된 하천”이라며 “국가하천 지정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급한 문제”라고 주장했다.
이어 “2008년 7월 경기도가 굴포천의 국가하천 지정을 신청해 2009년 10월 국토해양부가 국가하천 추가지정계획에 반영했으나 아직까지 지정되지 않은 상태”라며 “굴포천 상류(3.9㎞)를 생태하천으로 조성하고 유지용수 공급 및 하수관거를 정비하는 등 자치단체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평상시에는 굴포천의 오염된 물이 한강으로, 호우 시에는 아라천으로 흘러들어 생태계 파괴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이들은 “굴포천을 국가하천으로 지정해 정부가 하천 정비, 수질 개선 등의 치수 사업을 맡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성명서 발표에는 김만수 부천시장, 유영록 김포시장, 홍미영 부평구청장과 새누리당 유정복(김포), 민주통합당 원혜영(부천 오정), 설훈(부천 원미을), 문병호(부평갑), 신학용(계양갑) 의원 등 10명이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