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세 미혼여성 공무원 재무설계
Q.안녕하세요, 저는 28세 여성으로, 직업은 공무원이고 재직한지 만 4년이 조금 넘었습니다.
월급 세후 통장으로 210만원 정도 들어옵니다.
현재 자금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은행 예금 3천만원(올 10월 만기)
- 적금 은행 3년 월 28만원
- 적금 은행 1년 월 82만원(내년 3월 만기)
- 청약저축 월 5만원
- 건강보험(실손포함) 월 5만2천원
- 부모님 용돈 30만원
- 교통·통신비 월 15만원
- 용돈(본인) 45만원
경제지식이 없어 어떻게 재테크를 해야 하는지 몰라 그냥 안전한 은행에만 넣어두고 있습니다. 어떤 방법으로 해야할지 상담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저축보험 같은 비과세 상품에 가입을 해야할지도 고민이네요.
은행에만 저축… 재테크방법 추천해주세요
A.전반적으로 너무나 잘 하고 있는 플랜입니다.
결혼자금 마련에 적합한 적금의 저축과 비율 그리고 필수보험에 해당하는 실비보험의 가입과 훗날 내집마련 시 꼭 필요한 청약통장의 가입까지도 너무 잘하고 있는 부분이 많습니다.
그런데 소득에 비해 생활비지출이 너무 많고 필수목적자금에 해당하는 노후대비를 위한 연금가입은 전혀 준비돼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생활자금은 총 소득의 30% 이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미혼시점에 적합한 비율이 됩니다. 즉, 현재 소득에서는 월 60만원 정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 되며 현재 부모님께 월 30만원씩 드리는 생활비로 인해 부담이 되는 상황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개인지출을 늘리게 되면 그만큼 저축자금 확보가 어려워지는 만큼 스스로 정한 지출에 책임을 가져야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용돈을 월 25만원으로 줄이는 것이 좋다고 생각되며, 이렇게 하면 월 70만원까지 지출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실비보험 5만원이 추가된다면 월 135만원의 저축자금이 발생하는데, 월 적정 저축비율이 총 소득대비 최소 60%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미혼여성에게 적합한 비율인 만큼 월 135만원으로 각각 결혼자금과 노후자금을 대비할 수 있는 금융상품에 가입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결혼과 노후자금의 적정 저축비율은 8대 2의 비율로 맞추는 것이 적절합니다.
월 110만원과 월 25만원으로 각각 구분해 결혼자금으로서의 110만원은 각각 100만원의 적금과 10만원의 청약으로 나눠서 준비하고, 월 25만원은 투자형개인연금상품인 변액연금에 가입해 최소한의 노후자금을 마련토록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변액연금은 장기간 펀드투자를 통해 물가상승률이상의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상품으로 비과세혜택을 받아 세금을 면제받을 수 있고 평생 사망시까지 연금이 지급되는 종신연금으로 지급되기 때문에 안전한 생활자금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투자상품임에도 원금을 보장해 주기 때문에 안정성 또한 매우 높습니다.
노후대비는 전 연령층에 있어 절대 빠져서는 안되는 가장 중요한 목적자금으로 갈수록 늘어나는 평균수명과 달리 빨라지는 은퇴시점 때문이라도 사회초년기 때부터의 노후준비는 필수불가결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순수한 노후목적자금을 마련하는데 변액연금은 가장 적합한 금융상품이라 평가하며, 시중에는 다양한 상품들이 판매 중인데, 그 중에서도 장기수익성이 우수하고 수수료가 저렴하며 100세 연금기능과 최고수익보장기능을 갖춘 상품으로 가입하는 것이 보다 많은 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 방법이 되겠습니다.
100세 연금이란 100세 이전에 가입자가 사망할 경우 남은 가족에게 100세까지 연금을 지급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최고수익보장기능이란 연금수령전까지 발생됐던 수익금 중에서 가장 높았었던 당시의 수익금으로 연금지급을 보장해주는 기능으로 예를 들어 60세에 연금을 받기로 했고 50세때 가장 많은 수익이 발생해 5억원까지 수익금이 올랐는데 이후 계속 하락해 60세 때에는 3억원으로 줄어버린 경우, 3억원이 아니라 5억원으로 연금을 지급해준다는 뜻입니다.
미혼시점에서는 단순 장기목돈마련상품인 저축보험은 전혀 필요치 않습니다. 10년 이상 유지시 비과세혜택과 시중은행의 적금보다 많은 이자가 나오기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10년이상 유지를 할 경우에만 그런 것이므로 단기자금의 쓰임이 높은 미혼시점에서는 적합한 상품이라 보기 어렵습니다.
그렇다고 노후대비로는 낮은 이율로 인한 화폐가치하락과 연금상품이 아닌 만큼 더더욱 적합한 상품이라 보기 어렵습니다. 저축보험이 아닌 변액연금을 가입하는 것이 올바른 재테크방법이 되겠습니다.
<자료제공 : 모네타(http://www.moneta.co.kr) 상담방법모네타 → 재테크칼럼/상담 → 재테크상담 → 종합상담신청>
소득 대비 생활비지출 과다… 본인 용돈 줄이고 저축자금 늘리길
노후준비 가장 중요한 목적자금… 미혼때 장기 저축보험 불필요
현재 지출·재무 현황
수입: 210만원
적금: 1년+3년=110만원
청약: 5만원
보험: 5만2천원
생활비(부모님 용돈 포함): 90만원
포트폴리오 제안
저축 가능자금: 135만원
적금: 100만원
청약: 10만원
변액연금: 25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