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김포교육지원청을 김포한강신도시로 이전하겠다고 밝혔지만 주변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무작정 사업을 추진하면서 정부의 지방재정투융자심사에서 재검토 통보를 받아 이전이 사실상 무산됐다.
8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달 28일 도교육청이 지난해 중순부터 추진한 김포교육지원청의 이전 사업에 대해 재검토를 통보했다.
지난 1983년 김포시 사우동 1142에 개청한 김포교육청은 건물노후에 따라 매년 5억원의 보수비용이 지출되는데다 개청 당시에 비해 현재 근무인원이 약 3배나 늘어나면서 열악한 근무환경과 민원인들의 불편이 잇따랐다.
또 개청 당시 39개였던 관내 학교들이 올해 65개로 늘어나는 등 업무가 폭증해 청사 확장이 불가피한 실정이었다.
그러나 도교육청은 김포시가 김포교육청이 위치한 사우동 일대에 추진하는 뉴타운사업의 토지보상을 2017년 이후에야 시작하는 점과 한강신도시개발 역시 건설경기 악화로 사업 시행시기가 지연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무작정 이전을 추진한 것으로 나타나 이번 재검토 통보가 예고된 결과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더욱이 도교육청은 한강신도시개발사업의 공동시행자인 LH와 김포교육청 이전 부지도 확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서둘러 이전계획을 세운 것으로 드러나 이전 예산 244억원의 책정 기준의 신빙성도 부족한 상황이다.
교과부 관계자는 “김포교육청사가 협소해 확장이 필요한 것은 맞지만 이전 대상지역인 김포한강신도시 역시 기반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데다 해당 지역의 사업 시행시기가 지연되는 상황에서 교육청을 서둘러 이전하려는 것은 예산낭비”라며 “이전부지도 확정하지 않은 시점에서 이전 예산을 책정하는 것 자체가 모순인데다 이대로 이전이 추진되면 직원들은 물론 민원인들의 불편도 불보듯 뻔하기 때문에 재검토 통보할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한강신도시 및 사우동뉴타운사업의 진행상황을 고려해 내년도에 다시 이전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