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선 후보가 정당후보론에 이어 입당을 통한 후보단일화를 촉구하는 등 후보 단일화를 둘러싼 기싸움이 달아오르고 있다.
‘단일화 이슈’의 주도권을 쥐려는 문 후보에 맞서 ‘새로운 정치’를 부각시키려는 안 후보측간 신경전이 팽팽하게 전개되고 있다.
문 후보는 지난 13일 안 후보를 향해 “민주당에 들어와 경쟁해서 단일화하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이라고 촉구한 데 이어 14일에는 조국 서울대 교수를 위원장으로 하는 정치혁신위원회 공동 구성을 공식 제안했다.
조 교수는 지난 주 정치혁신위 공동구성→공동 정강정책 확립→세력관계 조율을 골자로 하는 3단계 단일화 방안을 제시했다.
이같은 문 후보의 제안은 정당 후보론의 연장선상으로 안 후보에 대한 압박 수위를 한층 높이면서 정당 기반의 혁신 논의에 방점을 둬 전통적 지지층 결집을 꾀하려는 셈법이 깔려있다.
그러나 안 후보는 문 후보의 입당 제안에 대해 “여러번 말씀 드렸는데 진짜 중요한 목표가 무엇인지 잘 헤아렸으면 좋겠다”고 일축한데 이어, 정치혁신위 공동구성 제안에 대해서도 “더 덧붙일 말씀이 없다”고 했다.
민주당의 자체적 개혁 노력이 우선이라는 점을 거듭 내비치며 문 후보의 제안을 사실상 거절한 셈이다.
‘무소속 대통령론’에 이어 ‘국민후보론’으로 맞받아쳤던 안 후보로선 단일화 프레임에 갇힐 경우 ‘새로운 정치’를 표방한 제3후보로서의 차별화 노력이 희석될 것을호 판단, 기존 정치권과는 계속 거리를 두는 모양새다.
이에 따라 안 후보측은 당분간 정치공방과는 선을 그으면서 정책 대결에 초점을 맞춘다는 계획이어서 당분간 두 후보간 후보단일화를 둘러싼 힘겨루기는 지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