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위해 두 시는 지난 9일 ‘광역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 소각시설 설치 및 운영·관리에 관한 기본협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구리시는 소각시설 설치와 운영 관리를 담당하고, 남양주시는 비용과 행정 지원을 맡는다.
생활쓰레기를 처리하는 구리자원회수시설에 100톤 규모의 소각로를 증설해 음식물까지 처리하는 방식이며, 2016년 완공을 목표로 1천400억원이 투입된다.
센터가 건립되면 두 지역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를 1일 200t가량 처리할 수 있다.
두 시가 공동으로 사업을 추진함에 따라 국·도비 예산 지원을 높이고 효율적으로 시설을 운영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인구증가에 따라 늘어나고 있는 생활폐기물 처리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사업은 수익성 민간투자사업(BTO) 방식으로 추진되며 사업제안서가 접수되면 공공투자관리센터(PIMAC)의 적격성 검토를 거쳐 제3자 공고의 경쟁과정을 통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고 실시협약 체결 후 착공에 들어가게 된다.
센터는 일정 기간 민간에 위탁 운영한다.
두 시는 광역환경에너지센터 건립을 통해 수도권매립지로 반출되는 생활·음식물쓰레기를 100% 자체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