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은행광고 톱스타 모델 안먹히네

광고효과 모델료와 무관… 기업銀 송해, 국민銀 김연아 2배차 압승
작년 광고모델료 57억 지출

국내 주요 은행들이 지난해 금융광고 모델로 톱스타를 영입, 60억원 규모의 광고모델료를 썼지만 광고 효과가 광고 모델료와 비례하진 않는다는 조사 자료가 나왔다.

1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재경(새누리당)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 등 주요 시중은행이 지난해 광고 모델료로 책정한 액수는 57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은행별로는 국민은행이 ‘피겨 여왕’ 김연아 선수의 광고모델료로 연 10억원을, 가수 이승기 씨의 모델료로 7억원을 사용했다.

또 우리은행 모델인 배우 장동건 씨의 모델료는 연 7억5천만원, 외환은행 광고에 등장하는 배우 하지원 씨와 축구스타 기성용 선수는 각각 연 5억원, 4억원 수준이었다.

하지만 ‘광고 효과’ 면에서는 기업은행 모델로 연간 3억원을 받는 방송인 송해 씨가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서치 회사 밀워드브라운이 지난 8월 조사한 자료에는 7월 기준 은행 광고부문 최초 상기도 점유율은 기업은행이 44.3%로 국민은행(23.9%)을 20.4%p 차로 앞섰다.

절반에 가까운 소비자들이 ‘은행’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광고로 기업은행을 선택한 것이다.

이어 음악인 박칼린 씨(연 1억5천만원)를 모델로 내세운 신한은행이 13.5%, 우리은행이 3.0% 등의 순이었다.

반면 배우 설경구, 송강호, 최민식 씨(각 연 4억원)가 모델인 농협과 배우 고수 씨(4억원)가 나온 하나은행, 외환은행은 하위권에 머물렀다.

특히 은행하면 떠오르는 3곳에 대한 비보조 상기도와 광고 호감도에서도 기업은행이 각각 67.4%, 77.4%로 1위를 기록했다.

김재경 의원은 “기업은행 사례는 톱스타를 광고모델로 쓰는 은행권의 관행이 최선인지 되돌아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