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정수장학회의 대선전 언론사 지분매각 논란과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 의혹을 놓고 충돌하면서 대선을 60여일 앞둔 난타전이 갈수록 격화되고 있다.
특히 민주통합당이 유신 선포 40주년인 17일 유신과 정수장학회를 앞세워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때리기에 올인하고, 이에 맞서 새누리당은 NLL 이슈를 고리로 민주당 문재인 후보를 집중 공격하면서 제각각 의원총회를 열고 쟁점화에 주력하는 등 양측간 공방이 과열로 치닫고 있다.
민주당은 정수장학회의 언론사 지분매각 의혹과 관련해 국정조사 및 청문회를 추진키로 의결했고, 새누리당은 NLL 포기의혹에 대한 국조와 함께 국가정보원이 보관중인 ‘노무현-김정일’ 대화록 원본 열람을 추진키로 했다.
민주당 이해찬 대표는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40년 전 오늘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10월 유신을 감행, 국회 해산을 선포하고 영구집권체제를 갖추려고 한 날”이라며 “요새 정수장학회 문제를 보면 아직 유신의 잔재가 이 사회를 지배하고 있다는 것을 절감한다”고 말했다.
무소속 안철수 후보측 유민영 대변인도 별도 논평을 내고 “(유신 선포) 40년이 지난 지금 민주주의 시대는 다시 좌초하고 있다”면서 “지금도 권력은 헌법이 부여한 대로 국민에 있다고 말하기 어렵다. 이제 권력은 국민에게 돌려줘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새누리당 이한구 원내대표는 오후 의총에서 NLL 의혹과 관련된 ‘노무현-김정일’ 대화록이 노 전 대통령의 지시로 폐기됐다는 보도를 거론하며 “역사기록을 말살하는 충격적 행동”이라면서 “문 후보가 당시 비서실장이었기 때문에 기록 말살에 분명히 연관됐을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두 사안을 놓고 최근 두 차례 직접 충돌했던 박 후보와 문 후보는 전날에 이어 이날도 상대를 겨냥한 언급은 하지 않은 채 각자의 입장만 밝혔다.
박 후보는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열린 ‘김대중 대통령 기념사업회 토론회’ 참석 후 기자들과 만나 정수장학회 논란에 대해 “조만간 입장을 밝히겠다”고 말했고, 문 후보는 충북지식산업진흥원을 방문, 기업인 간담회 후 대화록 폐기 논란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라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