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업계가 과도한 부가서비스 혜택과 마케팅 비용 증대 등으로 지난 3년 반 동안 1조6천억원에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민주통합당 강기정 의원이 23일 금융감독원을 통해 입수한 각 신용카드사의 손실발생 상품현황 자료에 따르면 2009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국내 20개 카드회사(7개 전업카드사, 13개 은행) 중 14개사가 카드 판매로 손실이 발생했다.
손실발생 카드상품은 모두 166개로, 누적 손실액은 1조5천580억원에 이른다.
카드사별로는 지난해 은행의 겸영 체제에서 전업계 카드사로 전환한 KB국민카드의 손실이 가장 컸다. 국민카드는 35개 상품에서 5천732억원의 손실을 입었는데, 이는 전체 손실의 36.8%에 달하는 규모다.
다음으로 업계 1위인 신한카드는 18개 카드에서 4천502억원, 삼성카드는 15개 상품에서 2천189억원, 롯데카드는 12개 상품에서 2천146억원의 손실을 각각 입은 것으로 집계됐다.
강 의원은 이러한 손실의 주 원인으로 지나친 부가서비스 제공과 모집수수료 등 초기 판매비용을 꼽았다.
각 카드사별 손실발생 상위 10개 상품을 중심으로 92개 상품의 손실발생 유형을 분석한 결과, 부가서비스 과다 32건, 초기비용 과다 18건으로 전체의 절반이 넘었다.
지난 2010년 8월 출시한 국민카드의 ‘굿데이카드’의 경우, 잘못된 회원수 예측과 과도한 부가서비스로 인해 22개월만에 2천586억원이라는 가장 큰 손실을 냈다.
신한카드 ‘4050’도 같은 이유로 639억원의 손실을 입었으며, 롯데카드의 ‘DC슈프림’와 ‘DC스마트카드’는 초기비용의 증가로 629억원과 593억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신한카드의 ‘생활애카드’와 레이디카드’, 국민카드의 ‘굿쇼핑카드’는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가 주 손실 원인으로 분석됐다.
강기정 의원은 “카드사의 지나친 외형 확대 경쟁이 손실규모를 키웠다”며 “영업손실은 결국 카드대출의 높은 수수료로 전가될 개연성이 높은 만큼 금융당국의 철저한 지도·감독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