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에 가서 농사나 지어야겠다.” “살기 힘든데 고향 내려가서 젖소나 키우며 살지 뭐.” 도시인들은 이런 소리를 쉽게 한다. 주로 사업에 실패를 하거나 해직을 당한 사람들, 그리고 앞으로 퇴직이 얼마 남지 않은 이들이 주로 하는 말이다. 그리고 실제로 귀농·귀촌 인구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가구는 6천500여 가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뿐만 아니라 2001년부터 2011년까지 농촌으로 이동한 인구가 12배나 급증했단다. 올해 상반기 귀농·귀촌 인구만 해도 8천706가구 1만7천745명에 달했다고 한다.
전기한바 있지만 귀농·귀촌을 원하는 사람들의 다수는 자영업에 실패하거나 퇴직했거나 도시생활에 지친 사람들이다. 물론 자연이 좋아서, 건강상의 이유로 도시탈출을 꿈꾸는 사람들도 있다. 보통 40세가 넘은 사람들이지만 20∼30대도 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농촌의 현실은 도시에서의 상상과는 많이 다르다. ㈔전국귀농운동본부 박용범 사무처장은 얼마 전 한 인터넷 뉴스매체와의 인터뷰에서 “귀농학교에서 수업을 받은 5천여 명 중 1천500명이 내려갔고 그 중 150여 명은 실패하고 올라왔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귀농을 하면 자기 인생을 스스로 해결하고 판단하는 것, 즉 ‘자기 삶의 결정권’을 갖게 된다”며 “먹고 입는 걸 직접 생산할 때 행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도 지난달 9일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고 귀농·귀촌 가구를 위해 창업 자금과 주택 융자를 강화하고 농지 취득세 감면 등 혜택도 확대한다는 내용의 종합 대책을 확정했다. 특히 이번 대책은 귀농·귀촌이 사회문제화 되는 ‘베이비부머’들의 일자리 문제와 농촌 고령화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농림수산식품부 외에 고용노동부, 행정안전부, 교육과학기술부 등 여러 관계 부처가 전방위적인 지원에 나선 것이다.
이번 정부의 조치가 탁상행정, 보여주기 위한 한 건 행정, 선거를 의식한 정치행정이 아니기를 바란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정부의 귀농정책이 귀농희망자들의 무지갯빛 환상을 부추겼지만 막상 농촌에 가서는 수많은 어려움에 봉착해 포기하고 도시빈민으로 되돌아오는 사례가 엄청 많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들의 입장에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내년 하반기쯤 제정될 예정인 지원 체계를 총괄할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한 법률’은 철저히 귀농·귀촌자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 그래야 귀농·귀촌자는 물론 농촌에 희망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