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1 : 황규연(53·장안동)씨는 지난 16일 추운 날씨 속에 장안문에서 D고속 60번 버스를 타기 위해 10분 넘게 기다렸으나 정작 버스는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고 가버렸다. 분해하는 황씨를 보고 한 시민은 수원버스는 택시라서 손을 흔들어야 세워준다고 말했다.
사례2 : 김법윤(28·서울 관악구)씨는 지난 14일 Y고속 7000번 버스에 가죽장갑을 두고 내렸다. 아차싶던 김씨는 버스회사 분실물 센터에 전화해 도착시간과 본인이 앉은 자리, 당시 상황 등을 설명했고, 이에 분실물센터 직원은 확인후 연락하겠다고 했지만 아직까지 깜깜무소식이다.
경기지역 노선버스와 경기·서울을 운행하는 시외버스의 불친절과 무정차, 민원업무 소홀 등이 여전해 시민들의 불편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버스회사들의 위반사항이 이어지고 있지만 지자체들이 이에 대한 관리·감독에 소홀한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당장 수원시내버스 무정차 문제에 대한 인식도 시민들과 괴리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많은 시민들이 손을 흔들지 않으면 그대로 지나치는 무정차 문제에 대해 불만을 터뜨리고 있지만, 수원시 담당자는 “수원은 서울 등과 달리 도나 시에서 보조금을 지급하는 공영제가 아니다”라며 “사기업에서 운영해 모든 정류장에 서게 되면 배차간격 문제가 있고 시내에 버스정류장도 지나치게 된다”고 말했다.
시민 정모(33)씨는 “시민의 발이라는 버스가 시민불편은 아랑곳 없이 무정차를 일삼고 있는 것을 시가 알면서도 개선은 커녕 뒷짐만 지고 있는 꼴”이라며 “정류장마다 비싼 돈을 들여서 BIS시스템을 구축한 거나 버스회사 편에서 얘기하는 거나 결국 대놓고 전시행정이라고 티내는 것밖에 더 되느냐”고 어이없어 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무정차의 경우 준수사항 위반으로 건당 10만원에서 20만원이 부과된다”며 “담당 공무원의 무정차 옹호발언은 어느 경우에도 이해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북부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시내버스 서비스에 대한 버스통신원과 SNS 등을 통한 1천576건의 민원 집계 결과, 무정차와 난폭운전, 불친절, 버스요금, 차내 청결 순으로 개선 요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