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설]저수지 부영양화, 유역협의체 구성 해결해야

‘사시사철 맑은 물이 넘쳐흐르는 강, 생태계가 되살아나는 강, 문화와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강이 될 것이다.’ 이는 2009년 11월 이명박 대통령이 4대강 착공식에서 한 발언이다. 그러나 지난해 낙동강에서 ‘녹조라떼’가 발생한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4대강 사업은 총체적 부실로 드러나고 있다. 이미 시민단체와 학계에선 보를 만들고 잘 흐르던 물을 인공적으로 가두어 두면 부영양화가 발생한다는 경고를 했지만 이를 무시하고 공사를 강행한 결과 비극은 시작되었다. 물은 가두면 썩는다는 당연한 이치를 국민들은 다시 한 번 확인하게 된 것이다.

물은 흘러야 하지만 할 수 없이 물을 가둬 저장해야 하는 곳도 있다. 농업용 저수지들이다. 우리나라에서 저수지를 만든 목적은 대부분 농업용이었다. 하지만 과거 농업용수를 공급하던 농업용 저수지는 현재 유역의 도시화와 개발로 낚시, 수상스키 등 친수 및 경관 수요가 늘고 있다. 그리고 수질오염이 심화되고 있다. 수질오염 원인으로는 저수지 바닥면 부패심화와 주변지역 사업장과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오수와 생활하수, 축산오수 등의 유입, 일반(건축)쓰레기 방치 등이다. 아울러 낚시로 인한 수질오염과 쓰레기 문제도 점차 심각해져 가고 있는 추세다. 이에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낚시금지구역 지정을 강화하고 있다.

실제로 이렇게 낚시금지구역으로 지정된 경기도내 저수지들은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개선효과가 나타났다는 소식이다. 대왕·보통리·백운·오전저수지 등 12개소가 그곳이다. 이와 관련해 경기개발연구원 송미영 선임연구위원이 ‘경기도 농업용수 수질현황 및 관리방안’을 발표해 관심을 끌고 있다. ‘도내 저수지 수질개선을 위해 법적으로 수질조사 대상 확대와 낚시제한 등 기존 제도에서 가능한 수단을 동원하고, 행정적으로 수질관리협의회 등을 구성하자’는 것이다.

심각한 것은 도내 농업용저수지 365개소 중 수질측정망이 갖춰진 곳은 7분의 1 수준인 54개소에 불과하다. 즉, 기초자료 확보조차 어려운 실정인 것이다. 또 대부분의 저수지에서는 부영양화가 진행 중이란다. 이 시점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현재 다원화되어 있는 물 관리를 일원화할 수 있도록 관련 법규를 정비하는 것이다. 아울러 지속적인 지도 단속으로 오염원 유입을 규제하고 환경기초시설을 시급히 설치해야 한다. 특히 저수지의 오염은 하류지역의 하천 오염도 동반하기 때문에 해당 지자체는 물론 인근 지자체와 경기도가 참여하는 유역협의체를 만들어 함께 고민하고 예산을 투입하는 것이 옳은 일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