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 남양동 주민들이 동에서 읍으로 전환시켜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행정단위를 격상시키는 게 아니라 낮춰달라는 것이다. 이곳이 남양동으로 바뀐 것은 2001년 화성군에서 화성시로 승격하는 과정에서 시청사가 있는 남양읍을 동으로 전환했기 때문이다. 동이 된 지 12년이나 지난 지금 읍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이유는 뭘까? 같은 이유를 여주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르면 오는 9월 중 여주군이 여주시로 승격될 예정이다. 그런데 일부가 반대한다.
남양동 주민이나 여주군 일부 주민들이 읍 전환요구나 시 승격 반대 움직임을 보이는 등 기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대학 입학 시 농어촌 지역 학생에게 유리한 농어촌 특례제 등의 혜택을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많은 학생이 농어촌 특례 입학으로 대학을 가고 있는데, 이게 상실된다면 학생들에게 많은 피해가 가는 게 사실이다. 화성시 남양동의 경우 농어촌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행정구역상 동으로 분류돼 학생 및 교사들이 불이익을 받고 있다. 남양동 학생들은 농어촌 특례입학 혜택이 사라지자 인근 면지역 학교로 전학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실상 농어촌인데도 교사 가점이 없어져 교사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단다.
최근 남양동 주민들은 행안부에 읍으로의 전환을 요청하며 3천명의 주민 서명부를 전달한바 있다. 이들이 주장하는 전환요청 이유는 ‘대학입시 전형 관련 농어촌특례입학 불가, 교사 가점 미부여, 어린이집 교사 읍·면수당 미지급, 그린벨트 지역 농어촌 학자금 지원불가 등 남양동이 농어촌지역임에도 동(洞)으로 돼 있어 농어촌 수혜를 받지 못해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주민들에 따르면 지난해의 경우 남양중 졸업생 254명 중 남양고로 입학한 학생은 107명(42%)밖에 되지 않았다고 한다. 특례가 인정되는 인근 면지역으로 갔다는 얘기다.
그러나 남양동이 남양읍으로 전환하는 게 쉽지는 않을 것 같다. 화성시의회는 7일 열린 본회의에서 남양동의 읍 전환에 대해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한 사항’이라고 난색을 보였다(본보 8일자 8면). 시는 행정안전부에서 전체 주민 의견 조사를 실시해 현행 남양동의 법정동 폐지 및 읍 설치를 승인해 줄 것을 신청했지만 시의회의 입장은 다르다. 법정동의 읍 전환은 전례가 없으며 지역주민의 의견, 남양동의 발전 현황, 읍 전환 시의 장단점 등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방법은 있다. 정부가 농어촌 특별전형 수혜대상 지역을 행정구역상 읍·면지역으로 설정하지 말고 실질적으로 교육여건이 열악한 지역을 설정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