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중소 주택건설업계에 ‘2차 붕괴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정부의 건설 규제 완화로 주택건설 시장의 틈새 상품으로 떠오른 도시형생활주택 시장성에 빨간불이 켜졌기 때문이다.
13일 대한주택건설협회 경기도회에 따르면 도내 주택건설 등록 업체 수는 지난해 5월(1천9개) 정점을 찍은 뒤 11월 991개, 12월 975개에 이어 올 1월 962개로 위축되며 역대 최저치(957개)에 근접했다.
대한주택건설협회 소속사는 자본금 100억원 이하의 중소업체다.
지난 2009년까지 1천100개 선을 유지한 도내 주택건설 등록 업체는 건설 경기침체가 심화된 2010년 7월 1천개 선이 무너지며 1차 붕괴가 시작됐다.
이후 2011년 3월 957개까지 곤두박질 쳤으나 도시형생활주택 건설 붐이 시작된 2011년 중반부터는 1천~970개선을 유지했다.
경기도회 관계자는 “2011년 4월 이후 중소 건설사가 리스크가 큰 아파트 시장을 포기하고 도시형생활주택으로 전환하는 사례가 급증하면서 중소 건설사의 연쇄 도산이 잠시 소강 상태에 들어갔다”고 설명했다.
실제, 경기지역 도시형생활주택 공급(인·허가, 국토해양부)은 2009년 291가구, 2010년 3천127가구에서 2011년 2만730가구로 늘었고 지난해에는 이보다 증가한 3만6천655가구가 쏟아졌다.
최근 2년 간 도시형생활주택이 6만가구 가까이 공급된 것으로 이는 지난 한 해 경기도에 공급된 아파트 총 공급량(6만8천여가구)에 육박한다.
공급이 과잉되면서 분양한 지 1년이 지나도록 주인을 찾지 못한 도시형생활주택이 속출하고 있다.
2011년 2월 A건설사는 수원시 인계동 인근에 140가구 규모의 도시형생활주택 분양에 들어갔지만 이달 현재까지 30가구 이상이 미분양으로 남았다.
B건설사도 부천시 소사구에서 지난해 7월 분양에 나섰지만 총 110가구 중 절반 이상이 현재 미분양 상태다.
이에 따라 경영난을 이기지 못한 도내 중소 건설사의 2차 붕괴 조짐이 포착됐다.
도내 주택 건설 등록업체는 올 봄 예정된 70여개 업체가 퇴출될 경우, 상반기 내 900개 선이 무너질 가능성이 크다.
대한주택건설협회 경기도회 관계자는 “경영 악화 등을 이유로 등록 요건(자본금, 사무실 보유 등)에 미달돼 3~4월 퇴출(등록 말소)이 예정된 업체만 70개사에 달한다”며 “거래가 크게 늘어나는 특단의 대책이 없는 한 지역 중소 건설사의 도산을 막기 힘들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