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경기도내 출신 의원들은 28일 국회 추가경정예산안 종합정책 질의에서 정부가 전날 개성공단에 체류중인 우리 측 인원 철수결정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김영환(안산상록을) 의원은 “우리 정부가 북한과 대화를 제안하며 중대조치를 거론한 것은 북한을 자극할 수 있고 대화거부의 명문을 줄 수 있다”며 “이런 부분에 충분한 논의가 필요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가 반쯤 허공으로 날아갈 수 있는 일”이라고 우려했다.
또 김 의원은 “정부가 좀 더 참았어야 했는데, 미숙한 결정이었다. 북한과 태도가 유사하다. 싸우다보니 북한과 닮아간다. 결국 개성공단 폐쇄로 갈 가능성이 높아졌다”면서 “금강산 관광 중단, 천안함 침몰, 연평도 포격사건 때에도 개성공단이 유지되었는데 우리가 좀 더 기다려야 했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태년(성남수정) 의원은 “개성공단 잔류 인원 철수 조치로 우리가 쓸 카드를 다 쓴 것 아니냐”며 “우리 정부가 개성공단 문제를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정홍원 국무총리는 “국민들이 들어가 있는 기업가와 종사자들의 식재료와 의약품이 떨어지는 막다른 상황이어서 빠른 시일 내에 확답을 받았어야 했다”며 “국민들 보호 차원에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답했다.
정 총리는 “앞으로도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며 “북한이 진지한 자세로 대화에 나와야 한다. 북한의 태도를 봐가면서 (대응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북한의 태도를 인지해 줬으면 한다. 저희들이 보기에 북한의 태도는 대화 의지를 보이지 않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