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학력 저하와 학생 지도 실패 등 일반고의 위기상황 우려에 지난 해부터 맞춤형 교육인 ‘교육과정 클러스터’를 운영 중인 가운데 교육부가 일반고 실태 조사를 시작으로 대책 마련에 나섰다.
29일 교육부와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교육부는 각 지역의 실정에 맞는 일반고 육성대책을 세우기 위해 고교별 행·재정적 지원 현황 전수 조사와 일선 교사 및 전문가 의견 수렴 방침을 17개 시·도교육청에 통보했다.
또 오는 5월 말까지 지역 상황과 교육 여건에 맞는 일반고 육성 방안을 마련해 제출하라고 통보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시·도교육청이 제출한 방안을 뒷받침할 수 있게 관련 법령과 제도를 정비하고 재정지원도 할 방침”이라며 “교육감들과 함께 6월말쯤 일반고 육성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이를 위해 시·도교육청 별로 일반고 육성을 위한 상시 협의체 등을 구성하라고 권고했다.
교육부가 일반고 살리기에 나선 것은 일반고 학력 저하와 소외론에 따른 것이다.
일반고 위기 여론이 커지면서 고교다양화 정책으로 특수목적고와 자율형 사립고,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등에 지원이 집중돼 일반고가 슬럼화하고 있다는 지적마저 잇따르고 있다.
학부모 김모(40·여)씨는 “중학생이 된 아이의 고교 진학을 앞두고 수원 영통으로 이사할 수 밖에 없었다”며 “평준화와 함께 일반고의 학력이 떨어지고, 학생들이 무서워 지도도 할 수 없다는 데 전학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육과정 클러스터 운영 등 도교육청 차원의 발전 방향을 꾸준히 찾고 있지만 제도적으로 뒷받침되지 않는 부분이 많다”며 “광역교육청에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자율성 확대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한편 도교육청은 지난 해부터 지역 학교들간 교과목 프로그램 공유로 학생들에게 흥미·적성·진로와 연계한 맞춤형 교육인 ‘교육과정 클러스터’를 운영 중이다.
다른 학교에서 자신이 원하는 수업을 듣고 시험을 보면 성적은 소속 학교로 통보되며 올해 일반고 22개교로 확대 시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