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993년 5월 9일 첫 전파를 쏜 이래 ‘열린음악회’는 국내외 각지를 찾아다니며 청중과 만나 왔다. 만남의 순간에는 황수경(42) 아나운서가 있었다.
10년 넘게 ‘열린음악회’와 함께해온 황 아나운서는 지난 7일 여의도 KBS신관에서 한 인터뷰에서 “아직도 리허설 때부터 줄을 선 관객들을 보면 설레고, 감사하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그분들을 보면 열정과 사명감을 갖고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힘줘 말했다.
‘열린음악회’는 단순한 음악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대중 공연의 새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규모 야외 공연을 통해 세대를 아우르는 무대를 선사했고, 클래식과 가곡, 트로트와 발라드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이 어우러지는 장을 마련했다.
황 아나운서는 ‘열린음악회’가 20년간 시청자와 함께할 수 있던 원동력으로 관객을 꼽았다.
“‘열린음악회’의 힘은 객석에서 나와요. 관객들과 시청자가 없었다면 20년을 이어올 수 없었을 거에요. 객석에서 받는 기가 굉장해요. 섣불리 뭐 하나 대충할 수가 없어요. 객석 반응이 바로 오니까요. 객석 분위기가 전체 공연을 좌지우지하는 경우가 많아요. 가수 컨디션이 안 좋거나 기대에 못 미친다 싶으면 박수와 환호 소리가 바로 달라지죠”
자신은 300여 명의 제작진 중 한 명일 뿐이라고 손사래를 치지만 많은 이들에게 ‘열린음악회’의 얼굴은 황수경 아나운서다.
1993년 19기 공채 아나운서로 입사한 황 아나운서는 ‘뉴스 9’의 앵커로 활동하다 1998년 10월 ‘열린음악회’와 첫 인연을 맺었다. 이후 출산휴가와 해외연수 기간을 제외하고 줄곧 ‘열린음악회’의 마이크를 잡아왔다.
황 아나운서에게 ‘열린음악회’는 ‘삶 그 자체’다.
“‘열린음악회’는 제 인생이자 생활이에요. 무대에 서는 게 정말 감사해요. 조명이 들어오는 순간 진심으로 행복합니다. 가끔 잘할 수 있을까란 걱정도 들지만 기분 좋은 긴장감이라고 생각해요. 무대에서는 관객과 함께 즐기자고 마음먹어요. 내가 즐기지 않으면 객석도 즐길 수 없다고 믿거든요”
그는 “처음에는 차가운 이미지 때문에 고민을 많이 했는데 이제는 아줌마가 돼서인지 부드럽게 객석과 무대를 아우르는 게 조금은 수월해진 것 같다”며 수줍게 웃었다.
‘열린음악회’는 다양한 곳에서 관객들과 만나 왔다.
1993년 민간인 통제구역인 철원 노동당사에서 열렸던 공연을 비롯해 1995년 청와대와 이문동 당시 국가안전기획부 청사, 1997년 국회의사당, 1998년 제4땅굴, 2005년 금강산 공연 등은 큰 반향을 일으켰다.
‘열린음악회’는 올가을 1천 회를 맞는다. 제작진은 특집으로 1천 회를 자축할 예정이다.
황 아나운서는 “후배들을 생각하면 박수할 때 떠나야 한다는 생각에 고민이 많다”고 조심스럽게 말했다.
그러나 떠나는 순간까지도 최선을 다할 생각이다.
“1분 1초도 최선을 다하지 않을 수 없어요. 보시는 분들이 노래를 들을 때만이라도 기쁨을 찾았으면 하는 마음이에요. 제가 느끼는 감동만큼 관객들도 최고의 공연을 맛봤으면 좋겠어요. 제작진 모두 같은 마음일 거예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