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미국 의회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을 통해 밝힌 비무장지대(DMZ) 세계평화공원 조성계획에 대해 정부가 구체적인 추진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정부 당국자는 12일 “평화공원 조성계획 실현을 위해 유관부처들이 협의중”이라며 “선결 과제인 북한과의 협의에서 제시할 방안 마련을 놓고 내부에서 구체화 작업을 벌이는 단계”라고 말했다.
범정부 추진체에 참여할 부처로는 북한과의 협의를 맡을 통일부와 군사적 실무협의를 담당할 국방부, 공원 조성계획을 수립할 국토교통부와 환경부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기관 외에도 그동안 DMZ의 평화적 활용 사업을 추진해 온 민간단체를 참여시켜 아이디어와 노하우를 흡수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박 대통령이 지난해 대선 때부터 공약한 사안에 대해 한층 진전된 구상을 밝힌 것인 만큼, 내주부터는 방미를 마친 청와대를 사령탑으로 각 부처 관계자들이 모여 머리를 맞대고 실무 협의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남북관계가 꽁꽁 얼어붙은 현 상황에서 평화공원 조성 사업이 곧바로 실행에 옮겨지지는 않을 전망이다.
또 실행까지는 선결돼야 할 과제도 산적해 있다.
정부는 평화공원 조성사업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큰 틀에서 남북관계 개선이 반드시 선행돼야 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각종 중화기와 GP(소초)가 밀집한 세계 최고의 군사 긴장지역인 DMZ를 북한이 말 그대로 ‘비무장화’하도록 설득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다. 정전협정에 따라 DMZ를 관리해 온 유엔사령부의 승인도 필요하다.
노무현 정부 당시의 ‘서해 평화 협력지대’ 조성 계획이 북한과 합의를 이루고도 제대로 추진되지 못했다는 점을 본다면 DMZ 평화공원 조성 계획의 추진도 결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적지 않다.
앞서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지난 10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 문제와 관련, “남북간 긴장완화와 평화정착, 신뢰 형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공원 조성을 위해 유엔 등과 협의해 가며 구체적인 실현방안에 대해선 범정부적으로 검토하고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 admi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