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생명윤리협회는 지난 24일 서울 견지동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와 함께 ‘한국전쟁 정전협정 60주년 특별세미나’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은 기조발제를 통해 “한반도 분단 해소를 향한 노력이 있어야 동북아에도 진정한 평화가 정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선 평화와 경제 번영을 선순환 관계로 자리잡도록 하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남북관계의 진전과 한반도 평화 증진이 안보를 증진시킬 뿐 아니라 막대한 경제발전 효과를 가져온다는 국민적 확신과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전 장관은 또 “최근 한반도 위기 상황의 일차 책임은 핵실험으로 사태를 촉발한 북한에 있지만 한국과 미국 역시 사태 악화의 책임을 면하기 힘들다”고 지적하고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근본적 대책과 관련 당사국의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근식 경남대 교수는 “북한은 탈냉전 이후 미국에서 안전보장을, 한국에서 경제적 지원을 받으려는 대외전략을 추진했지만 주기적 선거로 정권이 바뀌는 한국과 미국으로부터 성과를 얻지 못했다”며 “북한은 최근 국면에서 중국을 통해 안전보장과 경제지원의 상당 부분을 대체 가능함을 실감했다”고 분석했다.
이를 계기로 북한은 안전보장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경제협력은 한국과 중국 사이에서 병행 추진하다가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하는 이른바 ‘선택적 병행’ 전략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이어 김 교수는 “우리가 주도적이고 적극적으로 평화구상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을 가동하는 전향적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