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5 (금)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정부, 쌀 목표가격 23만원으로 올려라”

쌀전업농 여주연합회, 17만4083원 인상안 반발… 현실화 촉구

㈔한국쌀전업농여주연합회가 28일 농협중앙회 여주군지부 앞에서 쌀생산 농가의 소득보전을 위한 쌀 목표가격 현실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길현기 회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쌀 자급률이 83%에 불과한 상황에서 농가소득은 쌀 목표가격 제도 시행 이전의 74%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쌀 산업이 위기에 직면했다”면서 “쌀 생산농가의 안정적인 소득보장을 위해 쌀 목표가격을 23만원으로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길 회장은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쌀 목표가격을 17만83원에서 고작 4천원 인상하는 안을 국회에 상정했다”면서 “쌀 전업농은 정부 안에 절대 동의하지 못하며 목표가격을 관철시킬 때까지 투쟁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길 회장은 “쌀 목표가격을 23만원으로 인상하더라도 100g 밥 한공기 쌀의 원가는 220원에서 70원 상승한 290원 정도로 여전히 자판기 커피 한잔 가격에도 못 미치고 그 인상분을 한달로 계산해도 테이크아웃 커피 한잔 값도 안된다”며 “정부가 물가안정을 핑계로 쌀 가격을 지속적으로 억제하는 바람에 쌀 전업농이 2005년 8만여명에서 올해 6만8천여명으로 1만2천명이나 줄었으며, 쌀 산업 방관행위가 식량식민지를 자처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는 점을 정부·국회·국민은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한국쌀전업농여주연합회는 ▲정부의 쌀 생산 농가 소득안정대책 없는 쌀 목표가격 국회상정을 철회 ▲지난해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국회가 약속한 쌀 목표가격 현실화 실행 ▲쌀 목표가격 상승을 배제한 고정직불금 소폭 인상은 오히려 쌀 소득을 하락시킬 수 있음을 공개 ▲정부와 국회의 쌀 생산자 소득안정대책을 마련을 주장, 이를 외면할 경우 특단의 대책에 나설 것 이라고 밝혔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