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6월 6일은 현충일(顯忠日)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현충일은 호국영령의 명복을 빌고 순국선열 및 전몰장병의 숭고한 호국정신을 추모하는 한편 그분들의 숭고한 정신을 되새겨보는 뜻 깊은 날이다. 현충일을 앞두고 우리 역사의 몇 장면을 돌이켜보고자 한다.
1 천안함 피격 사건
2010년 3월 26일 서해 백령도 근처 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의 초계함인 PC-772 천안함이 조선인민군 해군의 어뢰 공격으로 침몰되었다. 이 사건으로 대한민국 해군 46명이 전사하였다.
2 연평도 포격 사건
2010년 11월 23일 오후 2시 34분 북한은 서해 연평도의 우리 해병대 기지와 민간인 마을에 해안포와 곡사포로 추정되는 포탄 100여발을 발사했다. 이 도발로 해병대 대원 2명이 사명했으며, 16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더욱 충격적인 사실은 민간인 2명이 사망하는 한편 10명이 부상당하는 등 1953년 7월 휴전협정 이후 민간인을 상대로 한 대규모 군사 공격이었다는 점이다.
3 북한의 3차 핵실험과 정전협상 백지화 선언
북한은 2006년 10월 9일 1차 핵실험과 2009년 5월 25일 2차 핵실험 그리고 2013년 2월 12일 3차 핵실험을 감행하였다. 그리고 2013년 3월 7일 일방적으로 정전협정 백지화를 선언하는 한편 2013년 5월 18일부터 사흘간에 걸쳐 총 6차례의 동해안 일대에서 북동쪽으로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하였다.
그런가 하면 평화헌법 9조 개정에 혈안이 되어있는 아베 정권의 움직임 또한 심상치 않다.
특히 2013년 5월 14일 이지마 아사오 내각관방 참여의 평양방문은 일본인 납치문제 해결이라는 자국 문제를 표방하고 있지만 주변 국가와의 신뢰와 우호적 관계를 깨뜨리면서까지 자국의 이익을 우선시하겠다는 일본의 파렴치한 야욕을 노골적으로 드러낸 상징적인 사건이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작금의 현상은 우리가 그 어느 때보다 경각심을 강화하는 한편 위기 상황을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중요한 시기임을 일깨워주는 사례들이다.
무엇보다 먼저 분열된 국민의 정신을 하나로 통합하여야 한다. 과거 우리는 망국적인 지역감정으로 국론이 분열되고 서로를 적대시하는 아픔을 겪어왔다. 그러나 민주적 정권교체를 실현하면서 지역감정은 상당부분 해소되었다.
최근 한반도는 지역감정보다 더욱 더 폐해가 심각한 진영논리에 휩싸여있다. 물론 보다 나은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것이라면 환영할 만한 일이다. 그렇지 않다면 국론을 분열시키고 국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마땅히 척결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한반도에서 절대로 전쟁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근거 없는 낙관론 역시 경계하여야 한다.
북한은 휴전협정 이후 60년간 약 43만건에 이르는 정전협정을 위반하였다. 특히 1·21 남침사건,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버마 아웅산 테러 사건, 민간 항공기인 KAL기 폭파 사건 등 온 국민을 경악하게 한 심각한 도발을 250여 차례나 자행하였다.
이같이 크고 작은 무력도발을 지속적으로 감행하고 있는 북한은 최근 김정은 체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하여 도발 수위를 더욱 더 고조시키는 등 한반도의 평화를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북한의 군사적 도발에 대한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는 점에서 무분별한 낙관론을 불식시키고 경계 태세를 한층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끝으로 오늘의 대한민국이 어떻게 지켜온 조국인가를 새롭게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5000년이 넘는 유구한 역사를 지닌 조국이지만 수많은 외침과 일제의 강점기 그리고 6·25 등 참으로 험난한 세월을 슬기롭게 극복하면서 지켜온 조국이다.
오늘의 현실이 우리에게 그 어느 때보다 강한 결속력과 투철한 애국심을 요구하고 있다. 현충일을 맞이하면서 국가의 소중함을 새롭게 인식하는 한편 일치단결하여 오늘의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자 하는 다짐의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