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막걸리 제조에 사용되는 누룩곰팡이가 64년 만에 제 학명을 찾았다.
농촌진흥청은 유전자 분석을 통해 국내 막걸리와 일본 소주 제조에 쓰이는 누룩곰팡이의 학명이 ‘아스페르길루스 카와치’(Aspergillus kawachii)’에서 ‘아스페르길루스 루추엔시스’(Aspergillus luchuensis)’로 바뀐다고 2일 밝혔다.
누룩곰팡이는 1949년 일본인 발견자 카와치의 이름을 따 ‘아스페르길루스 카와치’로 불렸으며, 국내 전통 누룩과 장류용 메주에서도 흔히 발견됐다.
하지만 농진청의 유전자 분석 결과, 이 곰팡이는 1901년 이미 보고된 ‘아스페르길루스 루추엔시스’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먼저 보고된 이름을 사용한다는 국제적인 원칙에 따라 이번에 이름이 바뀌게 됐다.
홍승범 농진청 농업미생물과 박사는 “발효산업에 중요한 누룩곰팡이의 확실한 분류 체계가 이번 연구를 통해 정비됐다”며 “연구 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학술지 최근호에 게재됐다”고 말했다.
한편, 농진청의 추가 연구 결과 누룩곰팡이는 전분 분해력이 뛰어나고 발효 때 잡균의 오염을 막아주지만 인체에 유해한 어떤 독소도 만들지 않는 안전한 곰팡이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