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시공 논란으로 3년째 멈춰 선 월미은하레일의 철거여부 등을 놓고 찬반 양론이 여전히 거세게 일고 있다.
시공사와 발주자 사이엔 책임소재 공방이 오고 갔으며 철거문제와 시설 대체방안을 놓고도 양측이 엇갈린 주장으로 대립각을 세웠다.
12일 한중문화관에서 인천언론인클럽 주관으로 열린 ‘월미은하레일 향후방안 시민토론회’에서 사업시공사와 정치인, 주민대표 등이 패널로 참석해 열띤 찬반 공방을 벌였다.
이날 시공사 대표로 나온 한신공영 염익환 이사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안전성검사를 통해 밝혀진 기술결함과 관련해 부적절한 검증기준에 따른 평가이기 때문에 발견된 결함 대부분은 개보수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관광용 모노레일을 고속철도 설계기준을 적용해 검증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보수·보강을 요구하게 됐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염 이사는 “그동안 발생한 하자는 차량이 뒤집어지거나 추락한 게 아니라 일부 부속품이 빠지거나 급정지 해 승객들에게 불편을 줄 수 있는 정도”라며 “안내륜 축, 집전장치 급곡선, 선형오차 등 38가지 결함 모두가 보수·보강할 수 있는 것들로 철거해야 한다고는 생각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임성수 인천발전연구원 연구위원은 “기존 시스템을 보수해 사용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가능하긴 하지만 안전성 문제와 완벽성에 대해선 어느 누구도 자신할 수 없다”며 “모노레일이나 레일바이크, 하늘길 산책로(보행자 전용로) 등 시설로 대체해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또 서원경 민주당 인천시당 정책실장은 “철도기술연구원의 개선안대로 보수·보강할 경우 최대 400억원의 추가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월미은하레일은 정치적 문제가 아니라 월미관광특구 활성화를 위한 공공성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