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5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농협 단일 운용에 따른 누수비용도 발생

道-농협 금리 왜 높은가 봤더니
道, 지난해 말 기준 평균 6.52%
서울·일반 은행보다 1%p 높아
이차보전·취급 수수료 더하면
실제 총 금리 8.05%로 더 커져

경기도내 소재의 미용기기 제조업체인 A사는 지난해 한 시중은행으로부터 연리 5.0%로 경기도 중소기업육성자금 3억원을 대출받았다.

여기에 담보대출이 아닌 신용보증서 발급에 따라 1.0%p의 금리가 추가로 늘었다. 이 기업의 실제 부담 금리는 6.0%로 매월 150만원 정도의 이자를 납부해야 한다.

서울시에 위치한 B제조기업도 지난해 서울시 운전자금 3억원을 대출받았다. 역시 시중은행을 통해서다. 금리는 A기업보다 1.3% 낮은 3.70%에 신용보증 대출에 따른 1.0%p의 이자가 추가됐다. 이 기업의 실제 부담 금리는 4.70%로 매월 118만원의 이자를 납부 중이다.

이처럼 중소기업육성자금 대출시 지난해부터 이어져온 저금리 시대에도 불구, 도내 기업이 서울시에 소재한 기업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 부담을 안고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경기도-농협간에 맺은 도 중기육성자금 협약금리가 타 지자체나 일반 시중은행에 비해 1~2%p 높게 책정됐기 때문이다.

도-농협간 협약금리는 2012년 말 기준 평균 6.52%인, 반면 서울시와 일반 시중은행들의 평균 대출 금리는 5.52% 수준이다.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다.

A기업이 이용한 도 중기육성자금의 경우 1.25%의 이차보전과 0.8%의 취급수수료가 숨어있다.

이차보전 1.25%는 도가 손실보전을 위해 농협으로, 0.8%의 취급수수료(0.1% 농협 부담)는 도가 기업이 대출을 받은 취급은행에 각각 지불된다.

해당 중소기업의 금리 발생구조는 대출금리 5.0%에 이차보전(1.25%), 신용보증수수료(1.0%), 취급수수료(0.8%)가 더해져 실제 총 금리는 8.05%.

반면 B기업의 실제 금리는 운전자금 3억원에 대한 3.7%의 금리 외에 신용보증 수수료 1%p를 포함한 4.7%다. 역시 서울시에서 1.5%의 이차보전이 지원된다.

서울시의 경우 은행간 자율경쟁을 통한 협력융자로 취급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이 기업의 총 금리는 6.2%에 그친다.

이를 감안하면 중기육성자금을 받은 도와 서울시 기업 간의 금리 차이는 당초 1.3%p에서 1.85%p로 벌어진다.

경기도 중기육성자금의 구조를 뜯어 보니 높은 금리뿐 아니라 농협의 단일 운용에 따른 누수비용(취급수수료) 발생으로 총 금리에서 서울시와 격차가 더 벌어지는 셈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