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미온적인 조치로 미뤄지고 있는 인천보훈병원 설립의 구체적인 건립방안이 정치권에서 다시 제기되고 있다.
지난해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대표 발의해 보훈단체로부터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새누리당 윤상현 국회의원(인천 남구을)이 지난 15일 인천보훈병원 건립을 위한 2차 정책토론회를 인천 남구 재향군인회관에서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김태열 교수가 ‘인천보훈병원 설립 필요성과 부지선정 및 효율적 병원운영 방안’에 대해 주제발표를 하고 남광규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교수, 김광환 건양대학교 병원관리학과 교수, 안성호 충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오일환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연구원장, 김현숙 한국의학연구소장 등이 토론자로 참석해 인천보훈병원 설립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현재 인천보훈병원 건립은 지난 2005년부터 추진되고 있으나 정부의 부적합 판정으로 결실을 맺지 못하고 있다.
인천에는 10만여명의 보훈가족이 살고 있고 국비진료대상자만 1만6천여명에 이르며 이 중 대부분은 국가유공자이지만 인천에 전문보훈병원이 없어 대다수 국비진료대상자들이 서울에 있는 중앙보훈병원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국가유공자의 대다수가 고령이고 거동이 불편해 왕복 4시간 거리에 위치한 서울 중앙보훈병원을 이용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지역 내에 8곳의 병원을 지정해 의료 보건서비스를 위탁하고 있음에도 이들 병원의 진료과목이 제한적이고 전문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인천보훈병원 건립이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외면하고 있다.
이에 윤상현 국회의원은 이날 토론회를 통해 “모든 국가유공자는 조국수호를 위해 희생해 왔고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피와 땀을 흘려왔다”며 “만약 국가가 경제성을 이유로 국가유공자에게 가장 절실한 보훈병원 건립을 외면한다면 이는 국가를 위해 헌신한 분들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의무를 저버리는 행위로 인천보훈병원 건립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최근 수인선과 제3경인고속도로가 개통됨에 따라 인천에 보훈병원이 건립된다면 수원, 안산, 김포 등 경기남부와 서부지역 등의 국가유공자에게도 많은 혜택이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