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산하 22개 공공기관이 일자리 창출 확대를 위한 실천과제를 마련해 추진한다.
경기도는 19일 도청 회의실에서 경기도시공사와 경기관광공사 등 도 산하 22개 공공기관 본부장이 참석한 가운데 ‘고용창출을 위한 공공부문의 참여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도는 ▲근로·제조업 및 대기업 중심인 고용창출시스템의 축을 서비스업과 중소기업, 여성·창조경제로 이동 ▲일·가정 양립 문화 확산 ▲시간제 전환 등의 일자리창출 방안을 제시했다.
이어 각 공공기관도 시간제 전환 확대, 대체인력의 시간제 채용 의무화, 청년의무고용제 추진 등의 방안을 내놨다.
기관별로는 경기콘텐츠진흥원이 판교테크노밸리에 ‘경기문화창조허브’를 설립해 일자리 8만개를 창출키로 했고, 경기평생교육진흥원은 평생학습전문가 양성프로그램을 운영해 일자리 136개를 만들기로 했다.
또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는 경력단절 200명을 대상으로 한 재취업 프로그램을, 한국나노기술원은 1인 창조기업의 첨단장비사용료(500만원)와 전문인력 제공을, 경기도문화의전당은 정원의 5% 범위에서 대학생에게 1년의 연수기회를 주는 경기도립예술단 연수단원제를 각각 도입키로 했다.
도는 다음달 이같은 계획이 포함된 고용창출 5개년 중점 추진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황성태 도 경제투자실장은 “일자리 창출은 국정과 도정의 핵심과제”라며 “고용률 제고를 위해 먼저 공공부문이 실천과제를 적극 발굴·시행해 민간분야로 확산되도록 추진에 만전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