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과 군포시·금천·구로·서울 영등포·동작·용산구 등 경기와 서울지역 7개 지자체 주민들의 염원인 ‘경부선 지하화 사업’ 이 첫 발걸음을 내딛는다.
안양시는 국철1호선 서울역∼당정역 구간(18개 역·32km) 지하화 사업과 관련 7개 지자체장들이 ‘경부선 지하화 추진협의회’를 구성해 국책사업 반영을 추진한 가운데 오는 26일 안양아트센터(안양8동)에서 기본구상용역 착수보고회를 연다고 23일 밝혔다.
이날 보고회에는 7개 지역 지자체장과 국회의원, 관련학회, 지역주민 등 1천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보고회에서는 서울역∼당정역 지화화 추진에 따른 과업구간 현황 조사, 지하화 기술검토, 지상철도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피해사례, 지하화에 따른 상부지역 활용방안. 사업추진방식 등에 대한 브리핑이 실시된다.
경부선 지하화 추진은 철도로 인한 지역단절과 교통난, 소음, 진동 등의 문제를 차단하고 상단부를 사람중심 공간으로 조성함으로써 주민들의 삶을 한 단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시는 사업추진을 위해 철도가 도심을 통과하는 인근 지자체와 공조를 이루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 지난해 5월 경기와 서울지역 7개 지자체장과 공동추진 할 것을 다짐하는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와 관련 7개 지역에서는 순수 지역주민들을 중심으로 ‘경부선철도지하화통합추진위’가 결성돼 경부선철도 지하화를 촉구하는 기자회견과 서명운동을 전개했다.
이로 인해 짧은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103만 여명이 서명에 참여했으며 이 서명지는 당시 제18대 대선후보에게 전달됐다.
최대호 시장은 “도심지 내를 관통하는 철도는 지역을 단절시킬 뿐 아니라 균형적 발전을 저해하고 소음과 분진을 유발하는 등 주민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있다”며 “철도가 땅 밑으로 모습을 감추는 것만으로도 지역주민 생활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