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에 한 통의 전화가 걸려왔다. 다소 상기된 목소리의 그 독자는 25일자 경기신문 1면 기사에 대한 불만부터 쏟아냈다.
“신문이 오보를 하면 됩니까?” “그것도 역사를 정반대로 보도하다니 제정신이냐고요.” 경기신문도 종북신문입니까?” “6·25가 왜 남침입니까, 북침이지?”
“….”
독자의 항의 내용을 추리면 이렇다.
“이날 본보 1면 머릿기사의 제목인 ‘6·25는 북침 아닌 남침’에 대해 심하게 유감이다. 북한이 침략했으니까 당연히 북침 아니냐. 왜 남한이 침략한 것처럼 남침이라고 표기했느냐. 그것도 초등학교에서 실시한 ‘6·25 바로알기’ 교육에서 그랬다니 말이 안 된다. 학교에서는 분명히 정확하게 가르쳤을 것이다. 그런데 신문이 오보를 해서 학생들은 물론 독자들까지 6·25를 남한이 침략한 것으로 잘못 알게 했으니 책임져라.”
설명은 10분 동안 이어졌고, 그래도 수긍할 수 없다며, 다시 알아보겠노라 는 말을 남기고 독자의 전화는 끝났다.
대략난감에 ‘멘붕’이다.
왜 그렇게 생각했을까. 고민은 이어졌고 답은 역사교육에 있었다. 역사는 허구나 소설이 아니기 때문에 단어 선택 하나에도 신중을 기해야 한다. 그래서 개념정립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혼란을 야기한다. 그 혼란이 남침(南侵)을 ‘남한이 침략한 것’으로 그 독자를 이끌었다. 이해는 가지만 문제는 심각하다.
6·25가 ‘북한에 의한 남침’이라는 사실은 미국과 소련, 중국 등 역사 자료를 보더라도 분명하다. 혹자는 ‘미국의 남침 유도설’ 같은 음모론을 제기하기도 하지만, 차치(且置)하자.
이 문제를 두고 일부에서는 정쟁화(政爭化)시키려는 억지를 부리나 보다. ‘고등학생 69%가 6·25를 북침으로 생각하는 것은 종북(從北)세력 때문’이라고 거품을 문다. ‘반공(反共)을 국시(國是)’로 했던 시절 누렸던 영화를 되찾기라도 하겠다는 듯, 결기(?)가 대단하다. 박 대통령도 최근 이 문제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대통령의 고민은 단순히 ‘북·남’을 앞세워 정적(政敵)들이나 제거하겠다는 얄팍한 생각이 아니라 우리나라 역사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제기로 읽힌다.
때아닌 ‘방위(方位) 논쟁’이 한국사 교육을 외면했던 지난 시절에 대한 ‘역사의 역공(逆攻)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드는 건 왜일까.
최정용 경제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