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7월 임시국회의 개최 여부를 놓고 줄다리기 공방을 거듭하고 있다.
민주당은 7월 국회의 소집을 새누리당에 요청하고 나섰지만, 새누리당은 수용불가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국가정보원의 대선 개입의혹과 2007년 남북정상회담의 ‘NLL포기 논란’ 대화록의 열람·공개를 둘러싼 정치적 셈법 때문이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1일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당에서 7월 국회 개최, NLL(북방한계선) 국정조사 및 청문회를 요구한 바 있다”면서 “그러나 이것은 사리에 맞지 않다”고 말했다.
최 원내대표는 “국회 본회의장 공사로 7월 국회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고, 6월 국회는 안건을 착실히, 차근차근 대부분 처리한 상황”이라며 불가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특히 민주당이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한데 대해 “어떻게든 대통령을 흔들어보려는 본색을 드러낸 것”이라며 “과거에도 대통령이 정상외교 시에는 정쟁을 중단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민주당이 대통령 중국 방문활동 시간에 원외집회를 열어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한 것은 최소한의 금도마저 버린 행위”라고 비판했다.
반면 민주당은 7월 임시국회의 필요성을 거듭 제기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생과 민주주의를 위해 7월 국회를 열 필요가 있다”면서 “7월 국회 개회를 새누리당에 정식으로 요청하고, 즉각 협의를 요청한다”고 밝혔다.
전 원내대표는 “민생 국회는 7월에도 이어져야 한다. ‘을’(乙)의 눈물을 닦아주는 국회를 천명했지만 아쉬운 부분이 많다”고 강조하면서 “국회는 문제를 제기하는 것을 넘어서 문제를 해결하는 곳이 돼야 한다”며 7월 국회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무소속 안철수 의원은 성명을 통해 7월 임시국회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민주당을 거들었다.
안 의원은 “애초 정치권은 이번 임시국회에서 민생을 챙기겠노라고, 을을 지키겠노라고 앞다퉈 약속했지만 임시국회가 마무리되면 이 숙제들은 9월 정기국회로 밀리게 된다”며 “민주주의와 민생을 위해 7월 임시국회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