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교통공사가 월미은하레일 시공사와 결별하고 대체시설 활용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9일 공사에 따르면 시공사인 한신공영과 시설 보수·보강 논의를 중단하고 모노레일, 레일바이크, 하늘산책로 등 다른 활용방안을 모색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공사는 월미은하레일 감사결과 준공·감리과정에서 총체적 부실이 드러난 시공사 등에 법적 책임을 묻고 대안마련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시 감사결과 시공사, 감리원, 시행사는 시운전도 없이 공사완료 확인서를 작성하고 궤도사업 준공검사 신청서를 시에 제출해 운행허가를 받았다.
또 준공 하루 전날 안내륜 우레탄 바퀴가 떨어져 나가는 사고가 발생했지만, 감리단은 사후조치도 없이 교통공사에 준공검사조서를 제출했다.
시는 부실시공을 묵인하고 준공허가를 내 준 전 교통공사 사장을 직무유기로 고발하고 시 공무원과 교통공사 직원 등 14명을 엄중 문책할 예정이다.
사후 활용방안과 관련해 교통공사는 시민아이디어 공모와 공청회를 통해 사업 최종안을 확정하고 내년 4월 착공할 계획이다.
오흥식 공사 사장은 “법원 감정결과 교각 위치와 경사가 95%이상 오차범위를 초과한 상태로 시공된 것으로 나타났고 가장 기본적인 토목 부문에서조차 수준 이하의 열악한 시공능력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그는 또 “시공사는 책임감리비용부담, 낙하물 방지시설 시공, 발주처 승인·검사를 거부하는 등 부실시공 장본인으로서의 책임의식조차 결여됐다”고 지적했다.
한편 지난 2009년 개통을 목표로 853억원을 들여 건설한 월미은하레일은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안전성 검증결과 부실설계로 드러나 개통이 무기한 연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