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시공으로 수년 째 멈춰선 월미은하레일의 활용방안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인천교통공사가 제3의 활용방안 수립을 발표한 데 대해 지역주민은 시설보강 후 정상운행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월미도를 중심으로 한 인천시 중구 주민으로 구성된 월미은하레일 안전개통추진위원회는 18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역주민들은 영업매출감소에도 불구하고 상가 지붕·간판 개량화 등 대대적 환경정비까지 했다”며 “교통공사는 사업 재검토 입장을 철회하고 월미은하레일 보수·보강 후 정상운행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추진위는 “철도기술연구원의 검증보고서에 따른 시설 보수·보강 약속을 지키지 않고 내년 4월까지 활용방안을 수립하겠다고 한 것은 지방선거를 의식한 정치논리”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지난 2011년 박규홍 전 인천교통공사 사장이 취임 후 이틀만에 월미은하레일 철거지시를 내린 건 인천시 입김이 작용한 의혹이 짙다”고 주장했다.
정치논리를 배제하고 철기연의 보고서에서 제시된 38가지 문제점에 대한 보수·보강 방안대로 한신공영측이 조속히 작업에 착수해야 한다는 요구다.
추진위는 또한 교통공사와 한신공영 간 첨예한 입장차를 보이는 낙하물방지시설과 관련해선 양자 협의를 통해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 동안 교통공사와 한신공영은 각각 다른 근거규정을 들며 낙하물방지시설 설치의무에 대한 견해차로 협상에 난항을 겪어왔다.
신동균 추진위원장은 “주민과 상인들은 월미은하레일 운행중단으로 주말 관광객 20만명이 줄어 1조6천억원의 피해를 입었다”며 “월미도 상권피해에 대한 손해배상과 법적 책임을 철저히 묻겠다”고 했다.
한편 추진위는 조만간 변호인단을 구성해 인천시와 교통공사를 검찰에 고발하고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