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노무현 전 대통령측이 봉하마을로 반출했다가 대통령기록관에 반납한 참여정부 청와대 업무관리시스템인 이지원(e-知園) 사본의 봉인이 뜯겨지고 무단 접속이 이뤄진 흔적이 확인됐다는 주장이 21일 제기됐다.
민주당 친노 진영의 핵심 인사인 홍영표(인천부평을)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 3월26일 노무현재단 사료팀장 등 실무자 2명이 이지원 사본 안에 있는 노 전 대통령의 서한 등 개인기록을 제공받기 위해 대통령기록관을 방문했을 당시 사본이 보관된 지정기록 특수서고의 봉인이 해제돼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이지원 사본 시스템에 접속한 흔적인 ‘로그 기록’이 2010년과 2011년 한차례씩 발견됐다”면서 “재단측의 이의제기로 추가 확인작업은 중단됐다”고 밝혔다.
로그 기록이 남은 시점은 이명박 정부 재임시절로 국가기록원측은 ‘시스템 구동 여부 확인’과 ‘항온항습 점검’을 위해 각각 로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노 전 대통령측은 봉하마을 사저에 있던 이지원 사본을 2008년 7월18일 대통령기록관에 반납했고, 이후 대통령기록관과 노 전 대통령측은 검찰조사가 마무리된 같은 해 10월 검찰 입회 하에 해당 시스템을 봉인했었다.
한편, 새누리당 김태흠 원내대변인은 “이명박 정부에 책임전가를 하려는 불순한 의도가 깔린 것”이라며 홍 의원의 주장을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