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의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열람위원들은 22일 오전 최종 검색에서 대화록 원본을 찾는데 결국 실패했다.
새누리당 황진하(파주을)·조명철, 민주당 박남춘(인천 남동갑)·전해철(안산 상록갑) 의원 등 열람위원 4명은 이날 오전 성남 국가기록원을 나흘째 방문, 최종 검색작업을 실시했으나 끝내 대화록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양당 관계자들이 전했다.
이들은 오후 3시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에 참석해 ‘대화록 실종’을 공식 보고했다.
여야는 당초 운영위 보고에 앞서 열람위원 10명 전원이 참석해 최종 확인과정을 거칠 예정이었으나, 4명의 대표 열람위원들간 확인으로 이를 대체했다.
결국 ‘국가기록원 내 대화록 부재’가 확인되면서 ‘사초(史草) 증발’을 둘러싸고 책임 소재를 찾는 거센 후폭풍에 휩싸일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은 노무현 정부가 대화록을 국가기록원에 이관하지 않고 폐기했다고 보고 있지만, 민주당은 이명박 정부에서 대화록을 없앴다고 의심하고 있어 양측간 한 치의 양보없는 대격돌을 예고하고 있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현재로서는 모든 상황을 종합해 볼 때 없는 것으로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이는 사초가 실종된 중대한 국기문란사태”라고 주장하며 검찰 수사를 통한 진상규명을 주장했다.
반면 민주당은 이번 사태를 이명박 정권의 ‘기록관 게이트’로 명명했다.
민주당은 노 전 대통령 측이 퇴임 후 봉하마을에 갖고 있다 국가기록원에 넘긴 ‘이지원(e-知園)’ 사본이 보관된 기록원 내 특수서고의 봉인이 뜯겨지고 2010년과 2011년 두차례 무단 접속한 흔적을 확인했다고 거듭 주장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어떻게 관리했기에 참여정부에서 ‘이지원’을 통째로 넘겼음에도 대화록이 실종됐는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새누리당은 이날 검찰 수사, 민주당은 특별검사 도입을 통해 대화록 실종경위를 비롯한 사건의 철저한 진상규명을 주장했다.
한편 민주당의 문재인 의원과 친노그룹은 대선 패배의 상처를 딛고 재기의 발판을 마련하는 듯 했지만 ‘원본 증발’의 예기치 않은 결말의 ‘덫’에 걸리는 처지에 빠져 야심차게 준비했던 국정원 대선개입 국정조사는 뒷전으로 밀리고 박근혜정부 국정원의 ‘NLL 대화록 공개’ 책임론도 초점이 흐려지면서 향후 행보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