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지방공무원은 35만4천863명으로 전체 공무원중 35.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안전행정부에 따르면 상반기 말 현재 우리나라의 입법·행정·사법부 소속 공무원 정원 총계는 99만1천481명으로 작년 말 99만423명에 비해 1천58명 늘었다.
이중 행정부 소속 국가 공무원은 61만2천215명으로 61.7%를 차지했다.
중앙부처 일반행정에 9만6천307명(9.7%), 교육에 34만6천446명(34.9%), 법무와 경찰·소방 등 치안에 13만8천162명(13.9%), 우정사업본부에 3만1천300명(3.2%)이 각각 배치돼 있다. 지방공무원은 35.8%인 35만4천863명이다.
입법부에는 3천974명, 사법부에는 1만7천431명, 헌법재판소에는 277명, 선거관리위원회에는 2천721명이 각각배정돼 있다.
작년 말과 비교하면 행정부 소속 국가 공무원 정원은 교육공무원(-3천471명)을 중심으로 3천272명 줄어든 반면, 지방공무원은 4천225명 늘었다.
새 정부의 경찰관 2만명 증원계획에 따라 올해 상반기 1천332명을 뽑은 경찰은 하반기 4천262명을 채용할 예정이다.
여기에 하반기에 소방공채가 이뤄지고, 지자체들이 사회복지직 9급 공무원 1천505명을 새로 뽑아 현장에 배치하면 공무원 정원은 조만간 100만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한편 안행부는 오는 2015년부터 외국으로 이민 가거나 외국에서 영주권이나 장기체류허가를 얻은 재외국민에게도 주민등록증이 발급된다고 밝혔다.
안행부는 이날 이같은 내용의 재외국민용 주민등록증 발급계획을 외교부·법무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2015년부터 17세 이상 재외국민에게 현재의 주민등록증과 모양이나 형태는 같지만 재외국민임이 표시된 주민등록증이 발급된다.
안행부는 이를 위해 올해 주민등록법을 개정하고 2014년까지 시스템을 연계 구축하는 등 준비를 마칠 계획이다.